본문 바로가기

남산용장사곡석불좌상 - 중첩된 원형 대좌위의 불상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산 1

직육면체의 자연석 윗면을 약간 가공하여 지름117.3cm되는 중대석 괴임을 새긴 돌로 하대석을 만들었다. 다듬지 않은 자연석으로 연결된 거대한 바위산에 조화되고, 약간 가공한 중대괴임은 정교하게 짜여진 삼륜대좌의 불상에 조화된다.
둥근 중대석 괴임위에는 북모양으로 생긴 둥글고 넓은 반석 세개를 반석 사이사이에 끼워 얹어 다른 예가없는 진기한 부처님대좌를 만들었다.
대좌위의 불상은 아깝게도 머리부분이 없다.

대좌높이는 2.091m이고 목까지의 불상높이는 1.41m이니 현재의 총 높이는 3.50m이다. 북모양의 돌기둥들은 위로 올라갈수록 지름이 축소되어 한없는 안정감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높이는 1층과 2층이 같고 3층을 약간 낮게하여 3층에 변화를 주고 있다.
그러나 그와 반대로 둥근 원반석은 2층과 3층의 지름을 같은 크기로 하고 1층만 유난히 넓게하여 1층에 변화를 주고있다. 또 원반석의 1.2층은 소박한 원반인데 반하여 3층은 화려한 연꽃송이로 되어있는 것도 큰 변화라 하겠다.

갓 핀듯이 생기에 넘치는 세겹연꽃송이 위에 결가부좌를 하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위에 얹고 왼손은 땅을 가르키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또한 (가사 끈)을 드리고 있다. 양어깨를 덮고 흘러내린 가사깃 사이로 승기지가 비스듬이 가슴을 가리고 동여맨 옷끈이 맵시있게 코매듭으로 매어져 있다.
이 불상의 옷맵시에서 특이한 것은 왼쪽 어깨에 드리워져 있는 영총의 수실이다. 신라시대 여래상에는 영총이 드리워진 상이없다. 그 때문에 지금까지 이 불상을 스님상이라 불러왔는데 그것은 잘못이다.
신라 불상에는 스님이 연꽃위에 앉아 있는 예가 없기 때문이다. 신라시대 불상으로 영총을 드리운 예는 지장보살상에 나타나고 있다. 지장보살은 가사를 입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불상은 지장보살이 아니라 대현스님이 돌고돌았다는 미륵불이라 생각된다.

다른곳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이 대좌는, 미륵보살이 계신다는 도솔천을 상징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기슭에서 약 200m 높이로 솟은 바위산은 수미산이 되고, 자연석으로 된 기단석위는 사왕천이 된다.
둥글고 넓은 첫째 원반석 위는 첫구름층으로 도리천이 되고, 둘째 원반석위는 야마천이되며, 연꽃송이로 장엄된 셋째층은 미륵보살이 계신 도솔천이 된다.

이 불상은 지금 서쪽으로 앉아계신데 대좌에서 2.12m되는 거리에 42cm 높이로 1면 46cm 정도의 사각형을 이룬 돌이있는데 둥근 구멍이 패어져 있다. 이 불상의 지혜를 밝히는 석등이 세워졌던 자리일 것이다.
이 불상 서남쪽 바위남면에 새겨진 글을 보면 이 불상은 위에 있는 삼층석탑과 함께 1923년 속에 든 보물을 훔치려던 도둑들에 의해 넘어져 있던 것을 1924년 조선총독부에서 복워해 세웠다라고 적혀있다. 마을에서 알아보면 이러한 도둑들은 모두 한국사람들이었다고 한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