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주두대리마애석불입상 - 풍만한 여성적인 모습의 마애삼존불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경주시 율동 산 60-1

벽도산 중턱의 서향한 바위면에 새겨진 통일신라 후기의 마애삼존불.
높이 본존불 3.32m, 왼쪽 보살상 2.45m, 오른쪽 보살상 2.22m.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입상이 협시한 삼존불로서 신체는 완만한 곡선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지만 전반적으로 힘이 빠진 모습이다.

본존상은 바위면을 감실(龕室)로 파고 낮은 부조로 상을 새겼는데 얼굴과 신체의 양감이 풍만하여 약간 비만한 경향을 보인다. 네모꼴에 가까운 얼굴은 이목구비가 단정하여 중후한 인상을 풍기며 입가에는 엷은 미소가 서려있다.

머리 위의 육계는 낮고 넓적하여 그 경계가 분명하지 않으며 목은 거의 없어지고 삼도 또한 형식화 되었다.
신체는 어깨가 넓고 각이 져서 당당하고 건장한데 통견(通肩)의 법의로 얇고 몸에 밀착되어 신체의 굴곡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넓게 트인 가슴사이로는 승각기(僧脚岐)와 띠매듭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리고 왼손은 가슴앞에 들어 엄지와 장지를 맞대고 있다.

협시보살상은 풍만한 보존상에 비해 날씬한 여성적인 모습이며 신체는 평면적이다. 머리의 보관은 생략되었고 머리카락을 틀어올려 높은 보발(寶髮)을 만들었다.
배경에는 장식없는 머리광배를 새겨 놓았다.
상체는 나형(裸形)에 몇가닥의 천의(天衣) 자락만이 표현되었는데 몸의 굴곡이 제법 여실하며 신체비례도 적당한 편이다.

오른쪽 보살상은 오른 손을 어깨위로 들어 엄지와 장지를 맞대고 왼손은 내려 보병을 쥐고 있어 관음보살로 확인된다.
왼쪽 보살상도 역시 오른쪽으로 몸을 틀고 있으며 모든 수법이 오른쪽 보살상과 비슷하다.
두 보살의 머리에는 장식이 없는 간단한 두광만이 선각되어 있다. 보살상의 대좌는 앙련만 조각.

삼존불 모두 발 모양을 앞으로 나오게 하지 않고 옆으로 벌였다.
위의 새겨진 모습으로 보아 이 삼존불의 본존상은 아미타불이며 좌협시불은 관음보살이 확실하므로 아미타, 관음, 대세지의 삼존인 것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부조의 곡선이 완만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주지만 하체로 내려갈수록 평면적이며 세부 표현에 조야(粗野)한 곳이 있어 조성시기는 전성기 통일신라 조각양식에서 조금 벗어난 8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