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가평군 상면 태봉1리
조선 중기 문신이며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인 월사 이정구<李廷龜>(1564∼1635)의 문집『월사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책판<冊板>으로 모두 947판이다.『월사집』은 원집 63권·부록 5권·별집 7권·연보<年譜>2권으로 모두 77권 22책으로 되어 있다. 원집과 부록 68권을 찍기 위한 책판은 815판으로서 숙종<肅宗> 14년(1688)년에 새겨졌고, 별집 7권을 찍기 위한 책판은 79판으로서 숙종 46년에, 연보 2권을 간행하기 위한 책판은 53판으로 1930년에 새겨졌다.『월사집』은 인조<仁祖> 14년에 공주에서 처음 간행되었으나 병자호란으로 없어지고, 숙종 14년 월사의 손자 이익상<李翊相>이 경상감영에서 원집과 부록을 간행하였다. 숙종 46년에는 증손 이희조<李喜朝>가 별집을 간행하였다. 이 책판은 원래 대구 용연사<龍淵寺>에 보관되다가 1928년 충북 옥천군 이원면 이원리로 옮겨 와서 없어진 300여 판을 새겨 넣었다. 따라서 원집·부록·별집 목판 총 894판 중 590여 판만이 조선시대에 새겨진 것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으나, 1987년 4월 후손에 의해 가평군 상면 태봉리에 장판각<藏板閣>이 건립되어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이 책판은 조선 후기의 서지학<書誌學>·한문학·인쇄사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조선 중기 문신이며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인 월사 이정구<李廷龜>(1564∼1635)의 문집『월사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책판<冊板>으로 모두 947판이다.『월사집』은 원집 63권·부록 5권·별집 7권·연보<年譜>2권으로 모두 77권 22책으로 되어 있다. 원집과 부록 68권을 찍기 위한 책판은 815판으로서 숙종<肅宗> 14년(1688)년에 새겨졌고, 별집 7권을 찍기 위한 책판은 79판으로서 숙종 46년에, 연보 2권을 간행하기 위한 책판은 53판으로 1930년에 새겨졌다.『월사집』은 인조<仁祖> 14년에 공주에서 처음 간행되었으나 병자호란으로 없어지고, 숙종 14년 월사의 손자 이익상<李翊相>이 경상감영에서 원집과 부록을 간행하였다. 숙종 46년에는 증손 이희조<李喜朝>가 별집을 간행하였다. 이 책판은 원래 대구 용연사<龍淵寺>에 보관되다가 1928년 충북 옥천군 이원면 이원리로 옮겨 와서 없어진 300여 판을 새겨 넣었다. 따라서 원집·부록·별집 목판 총 894판 중 590여 판만이 조선시대에 새겨진 것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으나, 1987년 4월 후손에 의해 가평군 상면 태봉리에 장판각<藏板閣>이 건립되어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이 책판은 조선 후기의 서지학<書誌學>·한문학·인쇄사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