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평택시 진위면 은산리 189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이자 문신인 조선개국<朝鮮開國>의 원훈<元勳>,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1337~1398)의 시문<詩文> 및 저술을 모은 삼봉집의 목판이다. 정도전은 고려 공민왕<恭愍王> 9년(1360) 성균시<成均試>에 합격하고 고려 공민왕 19년(1370)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성균관<成均館> 박사로 성리학<性理學>을 강론하였다. 조선 왕조 개국의 1등 공신<功臣>으로 판의흥삼군부사<判義興三軍府事> 등을 역임하는 동안 제도적·사상적으로 조선 왕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원래 삼봉집은 조선 태조<太祖> 6년(1397) 정도전의 아들, 정진<鄭津>에 의해 2권<2卷>으로 초간<初刊>되고 세조<世祖> 11년(1465) 안동부<安東府>에서 6권 6책<6卷 6冊>으로 중간<中刊>되었으며 다시 성종<成宗> 17년(1486)에 8권 8책으로 증보<增補>되었다. 이곳의 삼봉집 목판은 정조<正祖> 15년(1791)에 왕명<王命>에 의하여 재간<再刊>한 것으로 모두 14권 7책의 분량으로 이루어 졌다. 먼저 1~2는 부·시·악장<賦·詩·樂章> 등이, 3~4에는 소·서·기·설<疏·序·記·說> 등 문<文>이 수록되어 있고, 5~6권에는 중앙 집권 체제를 강조한 「경제문감<經濟文鑑>」이 수록되었으며, 7~8권에는 조선시대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의 모체가 된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이 수록되어 있다. 9~10권에는 정도전의 철학사상을 담은 「불씨잡변<佛氏雜辨>」,「심기리현<心氣理현>」,「심문천답<心問天答> 」이, 11~12권에는 고려 역대왕의 치적을 실은 「 경제문감별집<經濟文鑑別集>」이 수록되었으며 13~14권에서는 「 진법<陳法>」,「 습유<拾遺>」와 정도전의 평을 모은 사설 「 제현서술<諸賢敍述>」등이 실려 있다. 총 228판<版>으로 되어 있는 이 목판은 특히 판각이 정교하여 인쇄문화사<印刷文化史>연구의 귀중한 자료이거니와 조선 왕조의 건국이념이기도 한 정도전의 정치·경제·철학 사상이 망라된 삼봉집의 판각<板刻>이란 점에서 그 가치가 더욱 높이 평가된다.
[승용차]
1번국도 진위 하북삼거리 - 봉남리 - 은산2리, 15분 소요(5km)
[대중교통]
은산리행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이용 / 하북 삼거리 택시이용 - 15분 소요(5km)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이자 문신인 조선개국<朝鮮開國>의 원훈<元勳>,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1337~1398)의 시문<詩文> 및 저술을 모은 삼봉집의 목판이다. 정도전은 고려 공민왕<恭愍王> 9년(1360) 성균시<成均試>에 합격하고 고려 공민왕 19년(1370)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성균관<成均館> 박사로 성리학<性理學>을 강론하였다. 조선 왕조 개국의 1등 공신<功臣>으로 판의흥삼군부사<判義興三軍府事> 등을 역임하는 동안 제도적·사상적으로 조선 왕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원래 삼봉집은 조선 태조<太祖> 6년(1397) 정도전의 아들, 정진<鄭津>에 의해 2권<2卷>으로 초간<初刊>되고 세조<世祖> 11년(1465) 안동부<安東府>에서 6권 6책<6卷 6冊>으로 중간<中刊>되었으며 다시 성종<成宗> 17년(1486)에 8권 8책으로 증보<增補>되었다. 이곳의 삼봉집 목판은 정조<正祖> 15년(1791)에 왕명<王命>에 의하여 재간<再刊>한 것으로 모두 14권 7책의 분량으로 이루어 졌다. 먼저 1~2는 부·시·악장<賦·詩·樂章> 등이, 3~4에는 소·서·기·설<疏·序·記·說> 등 문<文>이 수록되어 있고, 5~6권에는 중앙 집권 체제를 강조한 「경제문감<經濟文鑑>」이 수록되었으며, 7~8권에는 조선시대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의 모체가 된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이 수록되어 있다. 9~10권에는 정도전의 철학사상을 담은 「불씨잡변<佛氏雜辨>」,「심기리현<心氣理현>」,「심문천답<心問天答> 」이, 11~12권에는 고려 역대왕의 치적을 실은 「 경제문감별집<經濟文鑑別集>」이 수록되었으며 13~14권에서는 「 진법<陳法>」,「 습유<拾遺>」와 정도전의 평을 모은 사설 「 제현서술<諸賢敍述>」등이 실려 있다. 총 228판<版>으로 되어 있는 이 목판은 특히 판각이 정교하여 인쇄문화사<印刷文化史>연구의 귀중한 자료이거니와 조선 왕조의 건국이념이기도 한 정도전의 정치·경제·철학 사상이 망라된 삼봉집의 판각<板刻>이란 점에서 그 가치가 더욱 높이 평가된다.
[승용차]
1번국도 진위 하북삼거리 - 봉남리 - 은산2리, 15분 소요(5km)
[대중교통]
은산리행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이용 / 하북 삼거리 택시이용 - 15분 소요(5k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