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남사마애여래입상 - 고려 초기를 대표할 만한 마애불상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상중리 산22

이 불상은 거대한 암벽< 岩壁 > 위에 양각< 陽刻 > 한 고려< 高麗 > 초기< 初期 >를 대표할 만한 마애불상< 磨崖佛像 >으로 광배< 光背 >와 대좌< 臺座 >를 모두 갖추고 있다. 3중< 三重 >의 원형두광< 圓形頭光 >과 타원형신광< 楕圓形身光 >을 조화시켜서 키 모양의 독특한 광배< 光背 >를 이루고 있다. 소발< 素髮 >머리에 큼직한 육계< 肉 >를 얹었고 원만< 圓滿 >한 얼굴에 눈·코·입 등이 비교적 작게 묘사되어 이 불상의 시대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중턱과 목에 삼도< 三道 >의 표현 등은 다소 비대해 보인다. 당당한 체구< 體軀 >에 비해 작은 두 손은 가슴께에서 설법인< 說法印 >과 같은 손모양을 하고 있다. 불의< 佛衣 >는 양 어깨를 감싸고 배 부분까지 U자형을 이루었고, 두 다리에 각각 비낀 U자형을 표현했으며 내의< 內衣 >를 묶은 띠매듭도 나타내었는데 모두 세련된 솜씨를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부분적으로 다소 형식화된 점 외에는 앞 시대의 양식을 계승한 고려< 高麗 > 초기< 初期 >의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