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남구 양림동 128
대문간, 곳간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로 배치된 상류양식의 기와집이다. 안채의 상량문에 광무삼년을해이월십일축시<光武三年乙亥二月十日丑時>로 기록되어 1899년 건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안채의 평면형태는 정면 여섯칸에 좌우 퇴<退>가 있으며, ㄱ자형으로 되어 우측면은 네칸과 후퇴, 가구<架構>는 2고주<高柱> 5량<樑>의 팔작<八作>지붕의 기와집이다. 세벌대의 다듬돌 기단위에 원형주초석을 놓고 원형기둥과 사각기둥을 세웠다. 보아지와 우미량<牛尾樑>이 있다. 대청은 2분합 겹문으로 안은 미닫이, 밖은 여닫이문을 설치하였으며 대청의 문은 4분합 들어열개문으로 되어 있다. 여닫이문을 고정시키기 위해 중앙에 문잡이 거북장식물을 두었으며 들어열개문을 고정하기 위해서 참새모양의 장식물을 장혀<長舌>에 두고 있다.
대문간, 곳간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로 배치된 상류양식의 기와집이다. 안채의 상량문에 광무삼년을해이월십일축시<光武三年乙亥二月十日丑時>로 기록되어 1899년 건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안채의 평면형태는 정면 여섯칸에 좌우 퇴<退>가 있으며, ㄱ자형으로 되어 우측면은 네칸과 후퇴, 가구<架構>는 2고주<高柱> 5량<樑>의 팔작<八作>지붕의 기와집이다. 세벌대의 다듬돌 기단위에 원형주초석을 놓고 원형기둥과 사각기둥을 세웠다. 보아지와 우미량<牛尾樑>이 있다. 대청은 2분합 겹문으로 안은 미닫이, 밖은 여닫이문을 설치하였으며 대청의 문은 4분합 들어열개문으로 되어 있다. 여닫이문을 고정시키기 위해 중앙에 문잡이 거북장식물을 두었으며 들어열개문을 고정하기 위해서 참새모양의 장식물을 장혀<長舌>에 두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