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주계신리마애여래입상 - 고려 초기를 대표할 만한 불상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여주군 흥천면 계신리 산5

남한강< 南漢江 >을 굽어보고 서있는 이 마애불< 磨崖佛 >은 편편한 바위에 도드라지게 새긴 것으로 광배< 光背 >와 대좌< 臺座 >를 모두 갖추고 있는 고려< 高麗 > 초기< 初期 >를 대표할 만한 불상이다. 원만< 圓滿 >한 얼굴에는 희미한 미소를 지었고 살찐 양 볼은 다소 형식화< 形式化 >가 엿보이다. 그러나 큼직하게 표현한 육계< 肉계 >라든가 3중< 三重 >의 원형두광< 圓形頭光 >과 그 둘레에 새겨진 화염문< 火焰紋 >은 생동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연꽃대좌 위에 당당하게 서 있는 신체에서도 생생하고 탄력감이 넘치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불의< 佛衣 >가 양쪽 팔을 걸쳐서 무릎 아래까지 내려와 U자형을 이룬 점이나 내의< 內衣 >에 보이는 띠매듭과 왼쪽 어깨를 감싼 가사< 袈裟 >의 표현 또한 뛰어난 솜씨를 보여준다. 오른손을 올려 어깨쪽으로 외장< 外掌 >하고, 왼손은 옆으로 펼쳐 특이한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부분적으로 다소 형식화된 면은 보이지만 당당한 불상 모습, 유려한 의문< 衣紋 >, 세련된 연꽃대좌 등에 통일신라시대< 統一新羅時代 >의 양식이 잘 반영되어 있어서 고려시대< 高麗時代 >의 이 지방 불상양식< 佛像樣式 >을 밝힐 수 있은 귀중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