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산27
안양사귀부< 安養寺龜趺 >는 비신< 碑身 >과 이수< 이首 >는 없어지고 귀부< 龜趺 >만이 남아 있다. 몇 개의 장대석< 長臺石 >으로 지대< 地臺 >를 구축했고, 굄대와 귀부가 한 개의 돌로 만들어졌다. 귀부는 정상 중심에 비좌< 碑座 >를 설정< 設定 >하고, 비좌의 각면을 외겹 연꽃무늬로 돌리고 있다. 귀갑문< 龜甲文 >은 6각형이며, 거북머리는 용의 머리처럼 새겨 사실적이고, 귀부< 龜趺 > 뒷편에 꼬리를 옆으로 새겼다. 전체적인 모습으로 보아 이 귀부는 고려시대< 高麗時代 > 작품< 作品 >으로 보이는데, 높이 1m, 길이 3m, 너비 2.18m에 달한다.
안양사귀부< 安養寺龜趺 >는 비신< 碑身 >과 이수< 이首 >는 없어지고 귀부< 龜趺 >만이 남아 있다. 몇 개의 장대석< 長臺石 >으로 지대< 地臺 >를 구축했고, 굄대와 귀부가 한 개의 돌로 만들어졌다. 귀부는 정상 중심에 비좌< 碑座 >를 설정< 設定 >하고, 비좌의 각면을 외겹 연꽃무늬로 돌리고 있다. 귀갑문< 龜甲文 >은 6각형이며, 거북머리는 용의 머리처럼 새겨 사실적이고, 귀부< 龜趺 > 뒷편에 꼬리를 옆으로 새겼다. 전체적인 모습으로 보아 이 귀부는 고려시대< 高麗時代 > 작품< 作品 >으로 보이는데, 높이 1m, 길이 3m, 너비 2.18m에 달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