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울주군 온산읍 방도리 산13
목도는 울주 앞바다에 위치해 있고 해안에서 300m밖에 않되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는 좁은 면적의 섬이다.
이 섬의 모양이 눈처럼 생겼다해서 목도<目島-눈섬>란 이름을 얻었고 또 동백나무가 많고 그 꽃이 아름다워서 동백섬(춘도<椿島>)이라는 이름이 있는가 하면 대가 많이 자라고 있어서 죽도<竹島>라는 이름도 갖고 있다.
섬에는 큰나무가 우거지고 또 접근하기가 쉬워서 많은 사람들의 탐방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 쪽에는 섬이 적은데 이 목도는 상록활엽림을 발달시킨 동해안의 유일한 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섬에 곰솔(해송) 큰나무가 자라고 있으나 숲의 성상으로 보아 상록수림으로 취급된다.
학술적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는데 이곳에 자라고 있는 수종으로서는 동백나무 사철나무 후박나무 다정큼나무 송악 등이 흔하게 나타나고 벚나무 팽나무 쥐똥나무 자귀나무 두릅나무 찔레나무 구기자나무 게요동 개산초나무 칡 노린재나무 멍석딸기 인공덩굴 등나무 청가시덩굴 감나무 담쟁이등이 자라고 있다.
벗나무는 지난날에 심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피해를 받아 전멸하다시피 되었다.
섬 한쪽편에 대단히 굵은 줄기를 가진 칡이 자라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약 60년전의 기록에는 이 섬에는 목본 20종, 초본 31종이 있었고 상록활엽수종중 주요한 것은 동백나무 후박나무 다정큼나무 사철나무 등이 있고 그중 동백나무는 거목이 있었다고 한다.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이유로서 우리나라 동단에 위치하는 상록활엽수림이라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대중교통]
울산공항에서
[19, 24, 124, 126]번을 타고 [공업탑]에서 하차하여 [21, 51, 333, 331]번을 타고 [대한유화앞]에서 하차
울산역에서
[102, 305, 314, 317. 327]번을 타고 [공업탑]에서 하차하여 [21, 51, 333, 331]번을 타고 [대한유화앞]에서 하차
고속.시외버스터미널에서
[333, 331]번을 타고 [대한유화앞]에서 하차
목도는 울주 앞바다에 위치해 있고 해안에서 300m밖에 않되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는 좁은 면적의 섬이다.
이 섬의 모양이 눈처럼 생겼다해서 목도<目島-눈섬>란 이름을 얻었고 또 동백나무가 많고 그 꽃이 아름다워서 동백섬(춘도<椿島>)이라는 이름이 있는가 하면 대가 많이 자라고 있어서 죽도<竹島>라는 이름도 갖고 있다.
섬에는 큰나무가 우거지고 또 접근하기가 쉬워서 많은 사람들의 탐방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 쪽에는 섬이 적은데 이 목도는 상록활엽림을 발달시킨 동해안의 유일한 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섬에 곰솔(해송) 큰나무가 자라고 있으나 숲의 성상으로 보아 상록수림으로 취급된다.
학술적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는데 이곳에 자라고 있는 수종으로서는 동백나무 사철나무 후박나무 다정큼나무 송악 등이 흔하게 나타나고 벚나무 팽나무 쥐똥나무 자귀나무 두릅나무 찔레나무 구기자나무 게요동 개산초나무 칡 노린재나무 멍석딸기 인공덩굴 등나무 청가시덩굴 감나무 담쟁이등이 자라고 있다.
벗나무는 지난날에 심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피해를 받아 전멸하다시피 되었다.
섬 한쪽편에 대단히 굵은 줄기를 가진 칡이 자라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약 60년전의 기록에는 이 섬에는 목본 20종, 초본 31종이 있었고 상록활엽수종중 주요한 것은 동백나무 후박나무 다정큼나무 사철나무 등이 있고 그중 동백나무는 거목이 있었다고 한다.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이유로서 우리나라 동단에 위치하는 상록활엽수림이라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대중교통]
울산공항에서
[19, 24, 124, 126]번을 타고 [공업탑]에서 하차하여 [21, 51, 333, 331]번을 타고 [대한유화앞]에서 하차
울산역에서
[102, 305, 314, 317. 327]번을 타고 [공업탑]에서 하차하여 [21, 51, 333, 331]번을 타고 [대한유화앞]에서 하차
고속.시외버스터미널에서
[333, 331]번을 타고 [대한유화앞]에서 하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