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김해시 어방동 산9번지
이 산성은 김해읍의 동북방에 우뚝 솟은 해발 330m의 분산에 자리하여 낙동강 하류에 형성된 넓은 평야를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산정에 있다. 분산은 큰 수목들이 자랄 수 없는 바위산을 이루고 있으며, 성은 산정의 평탄한 지형을 둘러서 남북으로 긴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부분에 따라서는 천연의 암벽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데 특히 김해읍에 면한 서남부는 높은 암석들이 솟아 있어서 매우 험준하다. 성내에 이르는 통로는 산성 서쪽에 있는 계곡을 거쳐 북쪽 후면에서 들어가는 길을 이용하였던 듯하다. 성벽은 산정은 평탄부로부터 약간 내려온 경사면에 축조되었으며 수직에 가까운 석벽은 높이가 3∼4m 가량 되는데 무너진 부분이 적지않다. 산성 주위의 둘레는 약 900m이다. 동쪽 중앙부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는 높이 2.1m, 폭 1.12m의 출입구가 만들어져 있는데 내부통로는 'ㄱ'자 모양으로 꺾이어 있고, 성벽은 대부분 두께 1m 내외의 외겹석축이다. 이곳에 세워진 [靖國君朴公 築城事蹟碑]에 의하면 이 산성은 고려 말에 김해부사 박위(朴 )가 왜구를 막기 위해서 옛 산성에 의거하여 수축한 후 임진왜란 때에 허물어졌던 것을 고종 8년(1871)에 부사 정현석(鄭顯奭)이 다시 현재의 성벽으로 개축하였다고 한다. 이 분산성은 城基의 선정법이 삼국시대 산성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소위 테뫼식(鉢卷式)을 따르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처음 축성한 시기는 삼국시대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가락국의 중심 근거지를 이룬 산성이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산성의 서쪽 기슭의 삼산리에 있는 고분군도 역시 같은 시대의 유적들로 보이며 그 서쪽에 인접하여 수로왕후 허씨 陵과 龜旨峰이 위치하고 있다. 현재 성내에는 우물과 암자가 1개소 있고 민가가 2동 있으며, 정상부에는 박위의 축성사적비외에 [興宣大院君萬世不忘碑], [府使通政大夫鄭顯奭永世不忘碑]가 각각 殿閣 안에 보존되어 있다.
이 산성은 김해읍의 동북방에 우뚝 솟은 해발 330m의 분산에 자리하여 낙동강 하류에 형성된 넓은 평야를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산정에 있다. 분산은 큰 수목들이 자랄 수 없는 바위산을 이루고 있으며, 성은 산정의 평탄한 지형을 둘러서 남북으로 긴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부분에 따라서는 천연의 암벽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데 특히 김해읍에 면한 서남부는 높은 암석들이 솟아 있어서 매우 험준하다. 성내에 이르는 통로는 산성 서쪽에 있는 계곡을 거쳐 북쪽 후면에서 들어가는 길을 이용하였던 듯하다. 성벽은 산정은 평탄부로부터 약간 내려온 경사면에 축조되었으며 수직에 가까운 석벽은 높이가 3∼4m 가량 되는데 무너진 부분이 적지않다. 산성 주위의 둘레는 약 900m이다. 동쪽 중앙부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는 높이 2.1m, 폭 1.12m의 출입구가 만들어져 있는데 내부통로는 'ㄱ'자 모양으로 꺾이어 있고, 성벽은 대부분 두께 1m 내외의 외겹석축이다. 이곳에 세워진 [靖國君朴公 築城事蹟碑]에 의하면 이 산성은 고려 말에 김해부사 박위(朴 )가 왜구를 막기 위해서 옛 산성에 의거하여 수축한 후 임진왜란 때에 허물어졌던 것을 고종 8년(1871)에 부사 정현석(鄭顯奭)이 다시 현재의 성벽으로 개축하였다고 한다. 이 분산성은 城基의 선정법이 삼국시대 산성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소위 테뫼식(鉢卷式)을 따르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처음 축성한 시기는 삼국시대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가락국의 중심 근거지를 이룬 산성이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산성의 서쪽 기슭의 삼산리에 있는 고분군도 역시 같은 시대의 유적들로 보이며 그 서쪽에 인접하여 수로왕후 허씨 陵과 龜旨峰이 위치하고 있다. 현재 성내에는 우물과 암자가 1개소 있고 민가가 2동 있으며, 정상부에는 박위의 축성사적비외에 [興宣大院君萬世不忘碑], [府使通政大夫鄭顯奭永世不忘碑]가 각각 殿閣 안에 보존되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