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가평군 하면 하판리 163
현등사삼층석탑 < 懸燈寺三層石塔 >은 방형< 方形 >의 지대석< 地臺石 > 위에 단층기단< 單層基壇 >을 놓고 그 위에 탑신부< 塔身部 >와 상륜부< 相輪部 >를 형성한 일반형 석탑이다. 기단부에는 종·횡선문< 縱·橫線紋 >과 연주문< 聯珠紋 >, 연화문< 蓮華紋 > 등의 조식< 彫飾 >이 있다. 탑신부에는 상하층 감축이 있어 안정감이 있으며 옥개석받침돌이 낮은 편이어서 주목된다. 상륜부는 화문< 花紋 >과 연주문< 聯珠紋 >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기단부와 탑신부 각부의 양식수법< 樣式手法 >으로 보아 고려< 高麗 > 말기< 末期 >에 속하는 석탑이다.
현등사삼층석탑 < 懸燈寺三層石塔 >은 방형< 方形 >의 지대석< 地臺石 > 위에 단층기단< 單層基壇 >을 놓고 그 위에 탑신부< 塔身部 >와 상륜부< 相輪部 >를 형성한 일반형 석탑이다. 기단부에는 종·횡선문< 縱·橫線紋 >과 연주문< 聯珠紋 >, 연화문< 蓮華紋 > 등의 조식< 彫飾 >이 있다. 탑신부에는 상하층 감축이 있어 안정감이 있으며 옥개석받침돌이 낮은 편이어서 주목된다. 상륜부는 화문< 花紋 >과 연주문< 聯珠紋 >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기단부와 탑신부 각부의 양식수법< 樣式手法 >으로 보아 고려< 高麗 > 말기< 末期 >에 속하는 석탑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