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암사경판 - 불교경전 등을 새긴 인쇄용 목판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2∼7리 797

이 경판들은 불암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교경전 등을 새긴 인쇄용 목판< 木板 >이다. 불암사의 목판은 부처님일대기< 一代記 >와 그의 역대< 歷代 > 제자< 弟子 > 244인의 사적< 史蹟 >을 묘사한 그림이 있는 보물 591호인 석씨원류< 釋氏源流 > 이외에 금강경< 金剛經 > 4종, 마하반야밀다경< 摩訶般若密多經 >, 약사경< 藥師經 >, 대승무량수장엄경< 大乘無量壽壯嚴經 >, 부모은중경< 父母恩重經 > 2종, 묘법연화경< 妙法蓮花經 >(권1), 지장보살원경< 地藏菩薩願經 > 등 대승경전< 大乘經典 >과 고왕관세음경< 古王觀世音經 >, 천지팔양신주경< 天地八陽神呪經 >, 안택신주경< 安宅神呪經 >, 조왕경, 명당신경< 明堂神經 >, 산왕경< 山王經 > 등 위경류< 僞經類 >, 천지명양수륙제의< 天地冥陽水陸齊義 >,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수생경초< 修生經抄 >, 등의 의식관계< 儀式關係 >와 진언요초< 眞言要抄 >, 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등 진언다라니경< 眞言陀羅尼經 >류와 인과곡, 권선곡, 참선곡, 수선곡, 지경영험전, 경신록 등이다. 이들 목판은 대부분 조선< 朝鮮 > 인조< 仁祖 > 13년(1635)과 정조< 正祖 > 19년(1795)에 간행된 것들로서 대승경전< 大乘經典 >, 선종서< 禪宗書 >, 위경류< 僞經類 >, 의식< 儀式 >관계 등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고, 언해본< 諺解本 >이 10여종이 넘는다. 이들은 17,8세기의 불암사의 성격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자료들이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