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학대사비 - 무학대사의 묘비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양주시 회천읍 회암1∼2리 산8-1

무학대사비 < 無學大師碑 >는 무학대사(1327∼1405)의 묘비로서 조선< 朝鮮 > 태종< 太宗 > 10년(1410)에 건립되었다. 대사는 고려말< 高麗末 > 조선초< 朝鮮初 >의 명승으로 속성은 박< 朴 >, 이름은 자초< 自超 >, 호는 무학이다. 18세에 출가하여 소지선사< 小止禪師 >에게서 머리를 깎고 중이 되었고 용문산< 龍門山 > 혜명국사< 慧明國師 >에게서 불법< 佛法 >을 배운 후 묘향산< 妙香山 >에 수도하였다. 고려 공민왕< 恭愍王 >때 연경< 燕京 >에 가서 지공대사< 指空大師 >를 찾아 법을 구하고, 이어 법천사< 法天寺 >에 가 있는 나옹< 懶翁 >선사를 찾았으며, 여러 곳을 순례한 후 공민왕 5년(1356)에 귀국하였다. 조선 태조< 太祖 > 원년(1392)에 태조에게 불려 왕사< 王師 >가 되어 도읍지를 물색하였다. 그후 회암사에서 머물다가 금강산< 金剛山 > 금장암< 金藏庵 >에서 입적하였다. 비는 4각 하대석< 下臺石 > 위에 비신을 놓고 장방형의 비개석< 碑蓋石 >을 올려놓았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