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유 래 : 농악성립설에는 農事安宅祝願說, 軍樂設, 佛敎關係說 등이 있으나, 농악의 목적에 따라서 당굿과 같은 마을굿, 지신밟기굿, 걸립굿, 두레굿, 판굿 등으로 분리 발전한 것으로 본다. 晋州三千浦농악은 1966년에 지정될 당시에는 「농악12차」라 했으나 86년에 晉州농악으로, 93년에는 晋州三千浦농악으로 개칭되었다. 명칭은 바뀌었으나 이 농악은 12차의 판굿으로서 걸립굿과 두레굿 등의 가락을 12종 36가락으로 구성 정립한 것으로 晋州와 三千浦지역에 전래되고 있는 경남형 농악이다. 이 판굿은 鎭海의 명상쇠였던 고 박경호씨에게서 晋陽郡의 고 金漢魯씨에 이어졌으며, 초대 상쇠보유자였던 晋州의 고 黃日白씨와 三千浦의 고 文伯允씨가 전수받았던 것이다.
(2)편성과 내용 : 晋州三千浦농악의 편성은 영기, 농기, 나발, 꽹과리, 징, 북, 장고, 버꾸 그리고 양반, 포수, 집사, 농군, 가장녀, 무동 등으로 한다. 쇠가락은 홑다드래기. 겹다드래기. 삼채다드래기. 영산다드래기. 잔다드래기. 덧뵈기. 판굿길군악. 오방진가락. 호호굿가락 등이 있다. 구성은 1차 : 얼림굿놀이. 오방진놀이. 오방진놀이. 다드래기놀이 2차 : 덧뵈기놀이. 쌍진풀이. 덧뵈기버꾸놀이 3차 : 자진얼림굿놀이. 군악놀이. 웃물놀이 4차 : 반군악놀이. 영산다드래기. 반다드래기 5차 : 자진얼림굿놀이. 굿거리놀이. 양반포수놀이 6차 : 덧뵈기놀이. 연풍다드래기놀이. 먹버꾸놀이 7차 : 삼채버꾸놀이. 자진다드래기. 다듬이품앗이놀이. 8차 : 제3차버꾸놀이. 반버꾸놀음. 연풍대얼림굿놀이 9차 : 앉은버꾸놀이. 영산다드래기버꾸놀이. 운봉대놀이 10차 : 사거리놀이. 중거리놀이. 달거리놀이 11차 : 별거리놀이. 호호대문놀이. 굿거리버꾸놀이 12차 : 허치자놀이. 삼자놀이. 날진풀이(鄕土文化誌. 1989. pp.769∼801참고)로 되어 있다. 그런데 12차 36가락은 하나의 원칙으로서 지역이나 굿의 규모 또는 상쇠의 견해에 따라 가감하여 편성하기도 한다.
(3)특징 및 전승 : 농악은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게 마련인데, 晋州三千浦농악은 12차의 기본악장 밑에 36가락이 따르고 있는 판굿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어 예술적 가치가 높다. 게다가 八陣法이라든가 버꾸놀이. 상쇠놀이. 무동놀이 등의 개인기가 뛰어나다.
(2)편성과 내용 : 晋州三千浦농악의 편성은 영기, 농기, 나발, 꽹과리, 징, 북, 장고, 버꾸 그리고 양반, 포수, 집사, 농군, 가장녀, 무동 등으로 한다. 쇠가락은 홑다드래기. 겹다드래기. 삼채다드래기. 영산다드래기. 잔다드래기. 덧뵈기. 판굿길군악. 오방진가락. 호호굿가락 등이 있다. 구성은 1차 : 얼림굿놀이. 오방진놀이. 오방진놀이. 다드래기놀이 2차 : 덧뵈기놀이. 쌍진풀이. 덧뵈기버꾸놀이 3차 : 자진얼림굿놀이. 군악놀이. 웃물놀이 4차 : 반군악놀이. 영산다드래기. 반다드래기 5차 : 자진얼림굿놀이. 굿거리놀이. 양반포수놀이 6차 : 덧뵈기놀이. 연풍다드래기놀이. 먹버꾸놀이 7차 : 삼채버꾸놀이. 자진다드래기. 다듬이품앗이놀이. 8차 : 제3차버꾸놀이. 반버꾸놀음. 연풍대얼림굿놀이 9차 : 앉은버꾸놀이. 영산다드래기버꾸놀이. 운봉대놀이 10차 : 사거리놀이. 중거리놀이. 달거리놀이 11차 : 별거리놀이. 호호대문놀이. 굿거리버꾸놀이 12차 : 허치자놀이. 삼자놀이. 날진풀이(鄕土文化誌. 1989. pp.769∼801참고)로 되어 있다. 그런데 12차 36가락은 하나의 원칙으로서 지역이나 굿의 규모 또는 상쇠의 견해에 따라 가감하여 편성하기도 한다.
(3)특징 및 전승 : 농악은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게 마련인데, 晋州三千浦농악은 12차의 기본악장 밑에 36가락이 따르고 있는 판굿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어 예술적 가치가 높다. 게다가 八陣法이라든가 버꾸놀이. 상쇠놀이. 무동놀이 등의 개인기가 뛰어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