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도판소리 - 남도고유의 전통음악

by 넥스루비 2007. 8. 7.
광주 북구 운암동

한국 전통연회에 있어 쌍벽을 이루는 것은 탈춤과 판소리인데, 그중 판소리는 주로 호남지방에서 전승되어지고 있는 종합예술로서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된 줄거리를 지닌 이야기를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예술형태를 말한다. 본래는 열두마당이었으나 일제 식민지하에서 거의 사라지고 근래까지 이어온 것이 춘향가<春香歌>, 심청가<沈淸歌>, 흥보가<興甫歌>, 수궁가<水宮歌>, 적벽가<赤壁歌>의 다섯마당만 남았던 것인데 최근에 단가<短歌>와 함께 가야금 병창이 개발되어 더하였다. 판소리란 한 사람의 소리하는 사람(창자<唱者>)과 한 사람의 북치는 사람(고수<鼓手>) 그리고 판을 이루는 구경꾼(관객<觀客>)으로 이루어지는 무대예술로서 소리자는 소리와 대사(<臺詞>:아니리), 몸짓(발림)을 하여 고수는 소리자의 가락에 따라 북을 쳐서 장단을 맞추며 신명난 분위기를 이끌어간다. 이러한 남도고유의 전통음악인 판소리는 우리민족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음악과 풍류로서 유전의 가치가 높음에도 서양음악에 밀려 그 맥이 끊어질 우려가 있어 이를 전승시키기 위해 이 고장 판소리의 대가들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게 되었다. 한애순은 곡성군 옥과면 출신으로 12세때부터 창평의 박동실 명창에게서 판소23리를 배우기 시작, 임방울, 박녹주에게서 두루 배웠으며 박동실은 박유전→이날치→김채만으로 이어지는 서편제의 정통적 소리바디를 이루고 있다는 정평을 받고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