帝釋.大梵像은 원래 브라만 또는 흰두교의 神像이었으나 대승불교 이후 불교의 護法善神像으로 四天王像 등과 더불어 불교에 수용되어 인도 이래 불교미술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유사"에 의하여 조각상이 아닌 畵像으로 그려졌다고 하는데 현재 전하는 帝釋.大梵像도 조선시대의 佛畵에서 神衆畵나 각종 上檀佛畵에 사천왕상 등과 더불어 護法善神으로 圖設된 예를 찾아볼 수 있으나 조각상의 造像예는 청곡사의 것이외에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청곡사의 제석.대범상은 회화상의 像과는 다르게 조각상으로서의 입체감을 나타내고 있음에서 특징적 요소를 찾아볼 수 있는데 얼굴부분은 보살상과 같은 부드러운 자비상을 취하고 있으나 호분으로 흰색을 나타내어 보살상과 구분하고 있으며 보관은 봉황.화염패 등으로 장식하여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려 하였음에 양식적 특징을 살필 수 있다. 양손동 합장이 아닌 手印을 結하고 있어 이것 또한 입체감을 나타내려 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衣文도 불화에서의 帝釋.大梵像과는 다른 양식을 살필 수 있어 주목된다. 조각의 기법은 조선후기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그 양식적 특징이 중국이나 일본에서 조성된 조상예와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서 우리나라 제석.대범상의 조각상으로서의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작품임.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