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화성군 태안읍 송산리 188
부모은중경은 부모의 은혜가 막중함과 부모의 은혜를 갚는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한 불교경전< 佛敎經典 >이다. 이 용주사< 龍珠寺 > 부모은중경판은 조선< 朝鮮 > 정조< 正祖 >가 억울한 참화로 돌아가신 아버지 장헌세자< 莊獻世子 >에 대한 효심의 발로로 새긴 것이다. 이 경전은 부모은증경을 설< 說 >하게 된 동기를 비롯하여 부모의 은혜가 무엇인가를 10가지로 제시하고 보은< 報恩 >의 어려움을 8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보은하는 방법으로는 남에게 베풀며 진리를 실현하면서 사는 것이 최상의 길이며, 그러지 않고 불효의 경우는 아비무간지옥< 阿鼻無間地獄 >에 떨어진다고 하여 지옥을 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경판< 經板 >은 동판< 銅板 > 7판(변상도< 變相圖 >), 석판< 石板 > 24판(한역경문< 漢譯經文 >), 목판< 木板 > 43판(한역, 국경경문, 변상도)으로 정조 20년(1796)에 새긴 것이다. 이 중에서 변상도는 경전의 내용을 그림(21장면)으로 나타낸 것인데 그린 이는 미상이나 매우 정교한 필치< 筆致 >로 묘사되어 있어 당시 도화서원< 圖畵署員 >의 작품으로 보인다. 이 부모은중경은 자식에게 효를 강조하는 것만이 아니라 부모의 역할까지 음미해볼 수 있는 효에 관한 대승적< 大乘的 >인 경전이다.
부모은중경은 부모의 은혜가 막중함과 부모의 은혜를 갚는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한 불교경전< 佛敎經典 >이다. 이 용주사< 龍珠寺 > 부모은중경판은 조선< 朝鮮 > 정조< 正祖 >가 억울한 참화로 돌아가신 아버지 장헌세자< 莊獻世子 >에 대한 효심의 발로로 새긴 것이다. 이 경전은 부모은증경을 설< 說 >하게 된 동기를 비롯하여 부모의 은혜가 무엇인가를 10가지로 제시하고 보은< 報恩 >의 어려움을 8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보은하는 방법으로는 남에게 베풀며 진리를 실현하면서 사는 것이 최상의 길이며, 그러지 않고 불효의 경우는 아비무간지옥< 阿鼻無間地獄 >에 떨어진다고 하여 지옥을 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경판< 經板 >은 동판< 銅板 > 7판(변상도< 變相圖 >), 석판< 石板 > 24판(한역경문< 漢譯經文 >), 목판< 木板 > 43판(한역, 국경경문, 변상도)으로 정조 20년(1796)에 새긴 것이다. 이 중에서 변상도는 경전의 내용을 그림(21장면)으로 나타낸 것인데 그린 이는 미상이나 매우 정교한 필치< 筆致 >로 묘사되어 있어 당시 도화서원< 圖畵署員 >의 작품으로 보인다. 이 부모은중경은 자식에게 효를 강조하는 것만이 아니라 부모의 역할까지 음미해볼 수 있는 효에 관한 대승적< 大乘的 >인 경전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