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89
ㄱ자형< 字形 > 안채와 일자형< 一字形 > 사랑채, 광채가 튼 ㅁ자형< 字形 >으로 배치된 집이다. 사랑채를 구조면에서 안채와 분리시키고 있는 점은 이동기씨< 李東琦氏 > 가옥< 家屋 >의 경우와 공통< 共通 >이나 이향정< 二香亭 >의 경우는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두채가 대각적< 對角的 > 배치를 보이는 점에서 중부지방< 中部地方 >의 대가< 大家 >들이나 서울집의 대가< 大家 >들이 지니는 평면 배치와 양식적< 樣式的 >으로 일치< 一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안채의 부엌 뒤편에는 방앗간채를 들여 앉혔는데 방앗간을 뒤꼍에 둔 것은 서백당< 書百堂 >의 경우와 같다. 방앗간이 있는 뒤울안은 비교적 촉박< 促迫 >하나 안채 뒤울안과 사랑마당을 잇는 터는 여유있게 담장을 돌렸으며 남< 南 >쪽 중심부를 터서 대문< 大門 >으로 하였다. 이 토담 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 동단< 東端 >에 마련된 안대문을 지나 안마당에 이르게 된다. 안채는 평면< 平面 >이 ㄱ자형< 字形 >에 그쳤으나 안방과 부엌과의 고패관계는 이 지역의 양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부엌을 3간< 間 >이나 배정< 配定 >한 점도 이 마을 큰집들과 공통되는 격식을 나타내고 있다. 안방과 건넌방에 퇴< 退 >마루를 두었고 퇴주< 退柱 >와 대청 기둥은 모두 방주< 方柱 >이다. 2간통< 間通 >의 안방과 대청 뒤편에는 3간< 間 >을 연이은 쪽마루를 부설하였다. 안방 툇마루의 부엌머리에는 외짝 여닫이 문을 달아 뜰아래로 내려서지 않고 마루에서 직접 부엌에 내려서게 고안되어 있으며 또 건넌방 툇마루 끝은 터놓지 않고 퇴간측벽< 側壁 >으로 마금을 치고 역시 외짝 여닫이 문을 달고 있다. 이 퇴간측벽< 退間側壁 >의 설치는 건넌방의 뒤편이나 아래로 연결되는 온돌방이나 고방, 부엌과 같은 부대공간< 附帶空間 >의 마련이 전혀 없으므로 그 허술한 주위를 일부나마 안전하게 꾸미려는 의도로 짐작된다. 부엌 아래로는 2간< 間 >의 마루고방과 그 끝에 쪽마루 있는 온돌방 1간< 間 >이 마련되어 있다. 온돌방에는 고방사이에 4분합을 달아 놓고 있으나 고방마루는 이 아랫방의 청< 廳 >으로도 겸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실 이 집의 방들은 안방과 건넌방, 이 아랫방 외에는 따로 여유가 없으므로 이 방이 안사랑 혹은 작은사랑의 기능을 담당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랑채는 길이가 6간< 間 >, 너비 간반< 間半 >이며 전퇴< 前退 >를 두었다. 그 대청< 大廳 > 전면< 前面 >에는 2간< 間 >에 모두 4분합들문을 달았고 큰사랑과 건넌방의 대청쪽에는 모두 같은 들문을 달았다. 이 대청의 후면은 건넌방쪽 1간< 間 >에만 쌍< 雙 >여닫이를 달아 안채와의 통로로 삼았다. 사랑큰방 뒤로는 부엌과 툇마루가 있는 서실< 書室 >을 꾸며서 기능상의 변화를 꾀하였고, 사랑건넌방의 전면과 측면 마루는 넓게 확장한 위에 마루 끝에는 아자난간< 亞子欄干 >을 돌려서 다소나마 누마루적< 的 > 정취< 情趣 >를 보이고 있다. 안채의 기단이나 안마당보다 한단 낮은 서< 西 >편 터에 안채와 마주보는 아래채가 있다. 아래채는 길이 6간< 間 >, 너비 1간< 間 >이며 좌우< 左右 > 각< 各 > 2간< 間 >씩은 고방이고 중< 中 > 2간< 間 >은 토방대로의 헛간이다. 고방의 벽채는 판벽< 板璧 >이다. 안 ·바깥채가 모두 납도리 삼량가구< 三樑架構 >이며 홑처마에 맞배지붕이다.
ㄱ자형< 字形 > 안채와 일자형< 一字形 > 사랑채, 광채가 튼 ㅁ자형< 字形 >으로 배치된 집이다. 사랑채를 구조면에서 안채와 분리시키고 있는 점은 이동기씨< 李東琦氏 > 가옥< 家屋 >의 경우와 공통< 共通 >이나 이향정< 二香亭 >의 경우는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두채가 대각적< 對角的 > 배치를 보이는 점에서 중부지방< 中部地方 >의 대가< 大家 >들이나 서울집의 대가< 大家 >들이 지니는 평면 배치와 양식적< 樣式的 >으로 일치< 一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안채의 부엌 뒤편에는 방앗간채를 들여 앉혔는데 방앗간을 뒤꼍에 둔 것은 서백당< 書百堂 >의 경우와 같다. 방앗간이 있는 뒤울안은 비교적 촉박< 促迫 >하나 안채 뒤울안과 사랑마당을 잇는 터는 여유있게 담장을 돌렸으며 남< 南 >쪽 중심부를 터서 대문< 大門 >으로 하였다. 이 토담 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 동단< 東端 >에 마련된 안대문을 지나 안마당에 이르게 된다. 안채는 평면< 平面 >이 ㄱ자형< 字形 >에 그쳤으나 안방과 부엌과의 고패관계는 이 지역의 양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부엌을 3간< 間 >이나 배정< 配定 >한 점도 이 마을 큰집들과 공통되는 격식을 나타내고 있다. 안방과 건넌방에 퇴< 退 >마루를 두었고 퇴주< 退柱 >와 대청 기둥은 모두 방주< 方柱 >이다. 2간통< 間通 >의 안방과 대청 뒤편에는 3간< 間 >을 연이은 쪽마루를 부설하였다. 안방 툇마루의 부엌머리에는 외짝 여닫이 문을 달아 뜰아래로 내려서지 않고 마루에서 직접 부엌에 내려서게 고안되어 있으며 또 건넌방 툇마루 끝은 터놓지 않고 퇴간측벽< 側壁 >으로 마금을 치고 역시 외짝 여닫이 문을 달고 있다. 이 퇴간측벽< 退間側壁 >의 설치는 건넌방의 뒤편이나 아래로 연결되는 온돌방이나 고방, 부엌과 같은 부대공간< 附帶空間 >의 마련이 전혀 없으므로 그 허술한 주위를 일부나마 안전하게 꾸미려는 의도로 짐작된다. 부엌 아래로는 2간< 間 >의 마루고방과 그 끝에 쪽마루 있는 온돌방 1간< 間 >이 마련되어 있다. 온돌방에는 고방사이에 4분합을 달아 놓고 있으나 고방마루는 이 아랫방의 청< 廳 >으로도 겸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실 이 집의 방들은 안방과 건넌방, 이 아랫방 외에는 따로 여유가 없으므로 이 방이 안사랑 혹은 작은사랑의 기능을 담당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랑채는 길이가 6간< 間 >, 너비 간반< 間半 >이며 전퇴< 前退 >를 두었다. 그 대청< 大廳 > 전면< 前面 >에는 2간< 間 >에 모두 4분합들문을 달았고 큰사랑과 건넌방의 대청쪽에는 모두 같은 들문을 달았다. 이 대청의 후면은 건넌방쪽 1간< 間 >에만 쌍< 雙 >여닫이를 달아 안채와의 통로로 삼았다. 사랑큰방 뒤로는 부엌과 툇마루가 있는 서실< 書室 >을 꾸며서 기능상의 변화를 꾀하였고, 사랑건넌방의 전면과 측면 마루는 넓게 확장한 위에 마루 끝에는 아자난간< 亞子欄干 >을 돌려서 다소나마 누마루적< 的 > 정취< 情趣 >를 보이고 있다. 안채의 기단이나 안마당보다 한단 낮은 서< 西 >편 터에 안채와 마주보는 아래채가 있다. 아래채는 길이 6간< 間 >, 너비 1간< 間 >이며 좌우< 左右 > 각< 各 > 2간< 間 >씩은 고방이고 중< 中 > 2간< 間 >은 토방대로의 헛간이다. 고방의 벽채는 판벽< 板璧 >이다. 안 ·바깥채가 모두 납도리 삼량가구< 三樑架構 >이며 홑처마에 맞배지붕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