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웅천왜성 - 소서행장이 구축했다는 웅천왜성

by 넥스루비 2007. 8. 7.
웅천왜성 산봉우리에서 능선을 따라 산기슭까지 뻗친 석성으로 임진왜란때인 1593년 소서행장이 구축하여 수비하던 곳으로 정유재란에 재침하여 다시 수축하였다고 한다. 웅천읍지에 따르면 원래 남산은 3개의 봉우리가 있었으나 이를 사평한뒤 일본식으로 산의 정상부에 본성을 두고 산록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차적으로 제1외곽, 제2외곽을 질서있게 배치하여 축성하였다. 아울러 육지로 부터의 방비를 철저하게 하기위한 것인 듯 남북으로 양익으로 긴 나성을 두었고 북쪽해안과의 연락을 위한 통로와 양측면에 외호를 조성하였다. 성내의 넓이는 약 5000평 정도이고 성벽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3-8M에 이른다. 축성에 사용된 성석은 현무암과 청석이 대부분이데 가장 큰 암석은 1.5M*1.5M*2M에 이르년 것도 있다. 대형면석을 상하로 고르게 쌓고 그 사이사이에 괴석을 채우면서 지면에서 70' 정도의 경사각을 이루어 축성하였다. 고려말 남해안 연안일대의 제주군에 산성을 축조하여 왜구가 침범하면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에서 방어하고 주민을 입보시키는 계획이 전면적으로 시행되었다. 따라서 웅천왜성의 기단부에 조선성의 흔적이 있다는 보고와 관련하여 보다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대중교통]
진해시내에서 103,105번 버스로 30분 가량의 웅천초등학교에서 하차. 도보 30분. (108번버스로 30분 가량의 웅천초등학교 다음 정거장에서 내려 약20분 도보)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