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 -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香완)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고려< 高麗 >시대의 일반형 청동< 靑銅 > 향로< 香爐 >로서, 대좌부< 臺座部 >와 동부< 胴部 > · 구연부< 口緣部 >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 全面 >에 각종 문양이 은입사< 銀入絲 >되어 있다. 대좌의 윗가장자리는 굵게 표시되고, 입언저리에서와 같이 당초문< 唐草文 >을 시문< 施文 >해 놓았다. 동부< 胴部 >에는 포류수금문< 蒲柳水禽文 >을 은입사해 놓았다. 그리고 동체< 胴體 >와 접하는 부분의 위쪽 받침부에는 단판< 單辦 > 앙련< 仰連 >이 돌려져 있는데 매우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다. 당시에 조성된 청동 향완들은 대개 운룡문< 雲龍文 >이나 당초문< 唐草文 >만을 시문< 施文 >하였는데, 이 향완만은 유독 포류수금문을 은입사하여 주목되는 유례< 遺例 >인데, 동체나 대좌의 곡선도 매우 아름답다. 이 향완에는 동부< 胴部 >에 은입사로 방곽< 方廓 >을 마련하고, 그 안에 5행< 行 > 34자< 字 >의 자경 < 字徑 > 0.5cm의 명문< 銘文 >을 역시 은입사로 새겼다.
상사도장도삼한언호< 尙舍道長圖三旱彦浩 > 근발단성< 謹發丹誠 > 성만년겸일절만□< 聖万年兼一切万□> 유정리고득락< 有情離高得樂 > 속증약제원시납< 速證若提願施納 > 이 명문에서 제작연대와 소속 사원< 寺院 >을 정확히 알수는 없으나, 제작경위를 알 수 있을뿐 더러, 시문< 施文 >과 조성기법으로 보아 고려< 高麗 > 후기< 後期 > 소작< 所作 >임을 짐작할 수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