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매산은 환상적인 철쭉 군락지로 유명하다. 경남 합천군 가회면, 대병면과 산청군 차황면의 경계지점에 있는 평범한 산으로 해발 1,108m이다.
황매산은 지리적으로 합천군 가회면에 속하며 크게 큰골, 작은골, 천왕재, 느리재로 나뉜다. 큰골 정상에는 '상삼봉'이라 불리우는 세 개의 봉우리가 솟아 있다.
통일신라시대 사찰인 영암사지(사적131호), 쌍사자석등, 귀부 등 보물급 유적이 산재한다. 1983년 11월 군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이른 봄 수만평의 산록을 붉게 물들이는 철쭉과 진달래의 비경은 보는 이들에게 경탄을 자아내게 한다.
황매산 산행은 자연미가 그대로 살아있는 산청군 차황면에서 오를 것을 권한다. 대개 산청군 차황면 상법마을이나 대병면 하금마을에서 시작한다. 나홀로 산행을 즐기는 사람들은 주로 상법마을에서 출발, 민암마을로 하산하는 코스를 선호한다. 오를수록 가파른 산이지만 상삼봉에 올라서면 서북쪽의 지리산 천왕봉과 동북쪽에 위치한 합천호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 승용차
1.부산에서 출발할 때
1)부산 - 서진주 톨게이트 - 원지 - 단계 - 가회
2)부산 - 의령 톨게이트 - 대의 삼거리 - 삼가 - 장대 - 도탐 - 두심
3)부산 - 의령 톨게이트 - 대의 삼거리 - 삼가 - 가회면 - 영암사 입구
4)부산 - 의령 톨게이트 - 대의 삼거리 - 삼가 - 합천 - 용주 - 대병
- 두심마을 하차
※ 최단코스 : 2)번
2.대구에서 출발할 때
1)대구 서부 - 고령 IC - 합천읍 - 용주면 - 대병면 - 두심
.....(1026번 지방도)
2)대구 서부 - 고령 IC - 합천읍 - 삼가면 - 가회면 - 두심
.....(1089번 지방도)
3)대구 서부 - 고령 IC - 봉산면 - 대병면 - 두심.....(1084번 지방도)
※ 최단코스 : 3)번
3.88고속도로 이용
1)88고속도로 - 해인사 IC - 야로면 분기점 - 봉산면 - 대병면
◇ 대중교통
1.부산에서 출발할 때
1)부산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또는 고속버스 터미널) - 진주 시외버스터미널(또는 고속버스 터미널) -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대병,대구행 직행버스 이용 - 가회 또는 두심 하차
2)부산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또는 고속버스 터미널) - 진주 시외버스 터미널(또는 고속 터미널) -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삼가, 대구행 직행버스 이용 - 삼가 -가회,두심 하차
3)부산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 - 삼가,합천,거창,해인사, 대구행 직행버스 이용 - 의령 경유 삼가 하차 - 가회 또는 두심 하차
※ 최단코스 : 3)번
2.대구에서 출발할 때
1)대구 성당동 터미널 - 합천,진주행 직행버스 이용 - 합천읍 하차 - 대병행 군내버스 - 가회행 군내버스 이용 - 두심마을
2)대구 성당동 터미널 - 합천,진주행 직행버스 이용 - 삼가면 하차 - 가회행 군내버스
3)대구 성당동 터미널 - 봉산,대병,진주행 직행버스 이용 - 두심마을
※ 최단코스 : 3)번
순결바위 모산재에서 죽사당으로 내려오는 길목에 귀이하게 생긴 낭뜨러지 바위가 있는데 이것을 사람들은 순결바위라고 부른다.
이 순결바위의 안내판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이 바위는 남녀의 순결을 시험할 수 있다는 곳으로, 순결하지 못한 사람이 이 바위 틈에 들어가면 바위틈이 오므라들어 나올 수가 없다는 전설이 있다."
순결바위에서 건너편을 바라다 보면 황매정사에서 힘들게 올라왔던 철 계단이 바로 눈 앞에 보인다.
황매산은 지리적으로 합천군 가회면에 속하며 크게 큰골, 작은골, 천왕재, 느리재로 나뉜다. 큰골 정상에는 '상삼봉'이라 불리우는 세 개의 봉우리가 솟아 있다.
통일신라시대 사찰인 영암사지(사적131호), 쌍사자석등, 귀부 등 보물급 유적이 산재한다. 1983년 11월 군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이른 봄 수만평의 산록을 붉게 물들이는 철쭉과 진달래의 비경은 보는 이들에게 경탄을 자아내게 한다.
황매산 산행은 자연미가 그대로 살아있는 산청군 차황면에서 오를 것을 권한다. 대개 산청군 차황면 상법마을이나 대병면 하금마을에서 시작한다. 나홀로 산행을 즐기는 사람들은 주로 상법마을에서 출발, 민암마을로 하산하는 코스를 선호한다. 오를수록 가파른 산이지만 상삼봉에 올라서면 서북쪽의 지리산 천왕봉과 동북쪽에 위치한 합천호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 승용차
1.부산에서 출발할 때
1)부산 - 서진주 톨게이트 - 원지 - 단계 - 가회
2)부산 - 의령 톨게이트 - 대의 삼거리 - 삼가 - 장대 - 도탐 - 두심
3)부산 - 의령 톨게이트 - 대의 삼거리 - 삼가 - 가회면 - 영암사 입구
4)부산 - 의령 톨게이트 - 대의 삼거리 - 삼가 - 합천 - 용주 - 대병
- 두심마을 하차
※ 최단코스 : 2)번
2.대구에서 출발할 때
1)대구 서부 - 고령 IC - 합천읍 - 용주면 - 대병면 - 두심
.....(1026번 지방도)
2)대구 서부 - 고령 IC - 합천읍 - 삼가면 - 가회면 - 두심
.....(1089번 지방도)
3)대구 서부 - 고령 IC - 봉산면 - 대병면 - 두심.....(1084번 지방도)
※ 최단코스 : 3)번
3.88고속도로 이용
1)88고속도로 - 해인사 IC - 야로면 분기점 - 봉산면 - 대병면
◇ 대중교통
1.부산에서 출발할 때
1)부산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또는 고속버스 터미널) - 진주 시외버스터미널(또는 고속버스 터미널) -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대병,대구행 직행버스 이용 - 가회 또는 두심 하차
2)부산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또는 고속버스 터미널) - 진주 시외버스 터미널(또는 고속 터미널) -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삼가, 대구행 직행버스 이용 - 삼가 -가회,두심 하차
3)부산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 - 삼가,합천,거창,해인사, 대구행 직행버스 이용 - 의령 경유 삼가 하차 - 가회 또는 두심 하차
※ 최단코스 : 3)번
2.대구에서 출발할 때
1)대구 성당동 터미널 - 합천,진주행 직행버스 이용 - 합천읍 하차 - 대병행 군내버스 - 가회행 군내버스 이용 - 두심마을
2)대구 성당동 터미널 - 합천,진주행 직행버스 이용 - 삼가면 하차 - 가회행 군내버스
3)대구 성당동 터미널 - 봉산,대병,진주행 직행버스 이용 - 두심마을
※ 최단코스 : 3)번
순결바위 모산재에서 죽사당으로 내려오는 길목에 귀이하게 생긴 낭뜨러지 바위가 있는데 이것을 사람들은 순결바위라고 부른다.
이 순결바위의 안내판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이 바위는 남녀의 순결을 시험할 수 있다는 곳으로, 순결하지 못한 사람이 이 바위 틈에 들어가면 바위틈이 오므라들어 나올 수가 없다는 전설이 있다."
순결바위에서 건너편을 바라다 보면 황매정사에서 힘들게 올라왔던 철 계단이 바로 눈 앞에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