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경기도박물관 보관)
이 책판< 冊版 >은 인조< 仁祖 > 9년(1631)에 정두경< 鄭斗卿 >이 사절로 명< 明 >나라에 갔다가 귀국할 때 얻어 온 책을 저본< 底本 >으로 하여 1673년에 송려 지십< 智什 >이 양주< 楊洲 >의 불암사< 佛巖寺 >에서 중간< 重刊 >한 것이다.
책의 내용은 석가< 釋迦 >의 일대기< 一代記 >와 석가< 釋迦 > 이후 서역< 西域 > 및 중국< 中國 >에서 불법< 佛法 >이 전포< 傳布 >된 사실을 400항에 걸쳐 서술한 것이다. 각 항에는 4자< 字 >1구< 句 >로 된 제목을 붙이고 먼저 그 사적을 그림으로 그리고, 내용을 서술한 문장은 그 다음 면< 面 >에 써 넣었다. 판서< 板書 >가 매우 정교하며 각법< 刻法 >도 우수하다.
첫머리에 성화< 成火 > 22년(1486)에 쓴 명 < 明 > 3헌정< 憲宗 >의 어제서< 御製序 >가 있고, 다음에 당< 唐 > 옥발< 玉勃 >의 「석가여래성도기< 釋迦如來成道記 >」가 있다. 권말< 卷末 >에는 처능< 處能 >의 발< 跋 >이 있고 서원< 書員 > 증명< 證明 > 이하 11명, 사자원< 寫字員 > 전애남< 全愛男 >, 각수설청< 刻手雪淸 > 이하 18명의 성명이 열기< 列記 >되어 있다. 이 책의 작가가 누구인지 알 수 없으며, 현재 중국서목< 中國書目 >에도 나와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중국< 中國 >에서 일서< 逸書 >가 된 듯하다.
이 책판< 冊版 >은 인조< 仁祖 > 9년(1631)에 정두경< 鄭斗卿 >이 사절로 명< 明 >나라에 갔다가 귀국할 때 얻어 온 책을 저본< 底本 >으로 하여 1673년에 송려 지십< 智什 >이 양주< 楊洲 >의 불암사< 佛巖寺 >에서 중간< 重刊 >한 것이다.
책의 내용은 석가< 釋迦 >의 일대기< 一代記 >와 석가< 釋迦 > 이후 서역< 西域 > 및 중국< 中國 >에서 불법< 佛法 >이 전포< 傳布 >된 사실을 400항에 걸쳐 서술한 것이다. 각 항에는 4자< 字 >1구< 句 >로 된 제목을 붙이고 먼저 그 사적을 그림으로 그리고, 내용을 서술한 문장은 그 다음 면< 面 >에 써 넣었다. 판서< 板書 >가 매우 정교하며 각법< 刻法 >도 우수하다.
첫머리에 성화< 成火 > 22년(1486)에 쓴 명 < 明 > 3헌정< 憲宗 >의 어제서< 御製序 >가 있고, 다음에 당< 唐 > 옥발< 玉勃 >의 「석가여래성도기< 釋迦如來成道記 >」가 있다. 권말< 卷末 >에는 처능< 處能 >의 발< 跋 >이 있고 서원< 書員 > 증명< 證明 > 이하 11명, 사자원< 寫字員 > 전애남< 全愛男 >, 각수설청< 刻手雪淸 > 이하 18명의 성명이 열기< 列記 >되어 있다. 이 책의 작가가 누구인지 알 수 없으며, 현재 중국서목< 中國書目 >에도 나와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중국< 中國 >에서 일서< 逸書 >가 된 듯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