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고령출토일괄유물 - 전고령출토일괄유물 (傳高靈出土一括遺物)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40 호암미술관

고령< 高靈 >은 삼국< 三國 >시대에 있어서 대가야국< 大伽倻國 >의 근거지였으며 서기 562년에 신라< 新羅 >의 침공< 侵攻 >에 의하여 정복되기까지 가야국< 伽倻國 >으로서 존속한 나라였다. 오늘날 고령읍< 高靈邑 > 지산동< 池山洞 >을 위시하여 주변 지역에는 당시의 유적인 많은 고분< 古墳 >이 모여 있다.
이 일괄유물은 삼국< 三國 >시대의 가야문화< 伽倻文化 >를 헤아리는 데 있어서 매우 귀중한 유품이라고 하겠다. (1)유물< 遺物 > Ⅰ 1. 주옥< 珠玉 > : 심공남색유리< 深空藍色琉璃 >구슬로서 환형< 丸形 >에 구멍이 뚫려 있다. 2. 등자< 등子 > : 발을 디디는 부분은 둥근 고리로 되고 그 윗부분에 안장에 매다는 가죽끈을 꿰는 곧은 드리움대가 수직으로 붙어 있다. 금동륜등자< 金銅輪등子 >로 길이 24㎝, 둥근 디딤대의 지름은 18㎝이다. 3. 지< 砥 > : 단면< 斷面 >이 장방형인 지석< 砥石 >의 머리 부분에 투각문은모< 透刻文銀帽 >를 부식< 附飾 >한 것으로서 길이 30㎝이다. 4. 검병< 劍柄 > : 병두< 柄頭 >는 은< 銀 >으로 상하용두< 相何龍頭 >를 조각하였고 경부< 頸部 >에는 어린문< 魚鱗文 >이 새겨진 금대< 金帶 >를 돌렸으며 병파부< 柄把部 >에는 은실을 감았다. 용두조식< 龍頭彫飾 >이라든가 금대< 金帶 > ·은제선< 銀製線 >등 모두 정교하게 제작< 製作 >된 검병< 劍柄 >으로서 현존 길이 33㎝이다. 5. 검구< 劍具 > : 은제< 銀製 >이며 상부< 上部 >는 은형< 銀形 >이고 중앙부< 中央部 >는 고리형< 形 >을 이루고 하부< 下部 >는 병장봉침형< 柄長棒針形 >을 이룬것인데 칼집 아래쪽 측면에 삽입하게 되어 있다. 6. 검병< 劍柄 > : 은장삼엽환두대도< 銀裝三葉環頭大刀 >의 병부< 柄部 >로서 병두< 柄頭 >는 규형< 圭形 >의 고리 안에 삼엽형장식< 三葉形裝飾 >이 있는 것이며 병파부< 柄把部 >에는 어린문< 魚鱗文 >을 새긴 은판장< 銀板裝 >을 하였고 현존 길이는 26㎝이다. 7. 검병< 劍柄 > : 은장삼환두대도< 銀裝三環頭大刀 >의 병부< 柄部 >로서 병두< 柄頭 >는 민고리를 3각형으로 연결시킨 모양의 것이다. 8. 행엽< 杏葉 > : 은지은판피< 銀地銀板被 >의 것으로서 그 모양은 살구잎형이며 테두리 안에는 수목문< 樹木文 >을 새기고 은< 銀 >못으로 고정시켰으며 길이 10.5㎝, 지름 7.5㎝이다. 9. 마탁< 馬鐸 > : 편원통형< 扁圓筒形 >의 동제마탁< 銅製馬鐸 >으로서 아래 부분은 활과 같이 굽은 호형< 弧形 >을 이루고 높이는 약 4.5㎝이다.
(2)유물< 遺物 > Ⅱ 1. 행엽< 杏葉 > : 금동제행엽< 金銅製杏葉 >으로서 테두리 안에는 수목문< 樹木文 >을 새기고 길이 21㎝, 지름 12㎝이다. 2. 운주< 雲珠 > : 금동제운주< 金銅製雲珠 >로서 반구형판< 半球形板 >의 중앙에 화문< 花文 >을 새기고 반구형판< 半球形板 > 주위에 6개의 네모판을 붙인 것이며 지름 10.2㎝이다. 3. 운주< 雲珠 > : 금동제운주< 金銅製雲珠 >로서 중앙에 화문< 花文 >을 새긴 반구형판< 半球形板 >의 주위에는 네모판 4개가 달려있으며 지름은 7.2㎝이다. 4. 안구< 鞍具 > : 은제금동장< 銀製金銅裝 >의 안교금구< 鞍橋金具 >로서 은제반구형판< 銀製半球形板 >에 금동투각운기문< 金銅透刻雲氣文 >을 배치하고 가장자리에 금동대< 金銅帶 >를 돌리고 금동< 金銅 >못을 촘촘히 1줄 박았다. 그리고 중앙에는 각각 1개씩 가슴결이 또는 고들개를 이어매기 위한 띠고리가 달려 있다. 길이는 18㎝, 지름 6㎝이다. 5. 운주< 雲珠 > 및 병형< 병形 > : 반구형좌< 半球形座 >의 중앙에 엽장식봉< 葉狀飾棒 >을 세운 금동제운주< 金銅製雲珠 >로서 반구형좌< 半球形座 >의 지름 약 2㎝이다. 6. 반구형운주< 半球形雲珠 > : 금동제운주< 金銅製雲珠 >로서 무문< 無文 >의 반구형판< 半球形板 > 주위에 네모판이 달렸던 것으로 추측되나 흠시< 欠矢 >되어 그 수는 알 수 없다. 7. 십이수운주< 十二手雲珠 > : 금동제운주< 金銅製雲珠 >로서 중앙에 화문< 花文 >을 새긴 반구형판< 半球形板 >주위에 12개의 네모판을 붙인 것으로 지름 10.5㎝이다. 8. 행엽< 杏葉 > : 금동양각화문행엽< 金銅陽刻花文杏葉 >으로서 테두리 안에 삼엽< 三葉 >을 장식한 심엽형문< 心葉形文 >과 쌍엽문< 雙葉文 >을 새겼으며 상단< 上端 > 중앙에는 장방형이 있는 정4각형 돌기가 있다. 지름은 10.2㎝이다. 9. 화문각행엽< 花文刻杏葉 > : 금동제< 金銅製 > 행엽< 杏葉 >으로서 테두리 안에는 심엽형문< 心葉形文>과 쌍엽문< 雙葉文 >이 새겨져 있고, 지름은 10.2㎝이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