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평택시 진위면 동천리 548 만기사
이 철조여래좌상<鐵造如來坐像>은 전형적인 고려시대<高麗時代> 철불좌상으로 원래 따로 주조<鑄造>된 오른팔과 양손은 절내에 따로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의 팔과 손은 새로 만들어 끼운 것이다. 육계<肉계>가 높이 솟아오른 나발<螺髮>의 머리칼과 온화한 얼굴, 다소 넓은 어깨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수인<手印>을 짓고 있는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자세이다. 법의<法衣>는 왼쪽 어깨에만 걸친 우견편단<右肩偏袒>인데 어깨 부분에서 크게 접어 계단식의 주름을 만들었고, 팔과 다리 부분에 표현된 의문<衣紋>도 매우 도식적이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비교적 알맞은 편이어서 안정감이 있고 당당한 형태이지만 도식적인 의문 표현과 단정해진 얼굴 등에서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철불상<鐵佛像>의 하나이다.
이 철조여래좌상<鐵造如來坐像>은 전형적인 고려시대<高麗時代> 철불좌상으로 원래 따로 주조<鑄造>된 오른팔과 양손은 절내에 따로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의 팔과 손은 새로 만들어 끼운 것이다. 육계<肉계>가 높이 솟아오른 나발<螺髮>의 머리칼과 온화한 얼굴, 다소 넓은 어깨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수인<手印>을 짓고 있는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자세이다. 법의<法衣>는 왼쪽 어깨에만 걸친 우견편단<右肩偏袒>인데 어깨 부분에서 크게 접어 계단식의 주름을 만들었고, 팔과 다리 부분에 표현된 의문<衣紋>도 매우 도식적이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비교적 알맞은 편이어서 안정감이 있고 당당한 형태이지만 도식적인 의문 표현과 단정해진 얼굴 등에서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철불상<鐵佛像>의 하나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