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경북< 慶北 > 영일군< 迎日郡 > 신광면< 新光面 > 마조리< 馬助里 >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며, 이 동인< 銅印 >과 함께 청색< 靑色 >의 유리옥< 玉 > 10여 개가 출토되었다고 한다.
꼭지는 수뉴< 獸뉴 >이고, 4지< 肢 >가 밑에 붙고 허리가 공간이 된 형태이다. 고개를 들어 앞을 보고 있으나 몸에 짧은 횡선< 橫線 >이 있을 뿐 녹으로 해서 세부< 細部 >가 분명하지 않다. 인면< 印面 >에는「진율선예백장< 晋率善穢伯長 >」이라고 3행에 상하 2자씩 예체< 隸體 >로 된 6자의 음문< 陰文 >이 있다. 인면< 印面 > 주변에 손상이 있어 실제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동인< 銅印 >은 중국에서 한대< 漢代 > 이래 사린< 四隣 >의 제국< 諸國 >의 장< 長 >에게 준 관인< 官印 >의 하나로 진대< 晋代 >에 예백장< 穢伯長 >에게 준 동인< 銅印 >임이 같은 진대< 晋代 >의「진율선호백장< 晋率善胡伯長 >」의 인< 印 >과 수뉴< 獸뉴 >나 법량< 法量 >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인정된다.
경북< 慶北 > 영일군< 迎日郡 > 신광면< 新光面 > 마조리< 馬助里 >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며, 이 동인< 銅印 >과 함께 청색< 靑色 >의 유리옥< 玉 > 10여 개가 출토되었다고 한다.
꼭지는 수뉴< 獸뉴 >이고, 4지< 肢 >가 밑에 붙고 허리가 공간이 된 형태이다. 고개를 들어 앞을 보고 있으나 몸에 짧은 횡선< 橫線 >이 있을 뿐 녹으로 해서 세부< 細部 >가 분명하지 않다. 인면< 印面 >에는「진율선예백장< 晋率善穢伯長 >」이라고 3행에 상하 2자씩 예체< 隸體 >로 된 6자의 음문< 陰文 >이 있다. 인면< 印面 > 주변에 손상이 있어 실제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동인< 銅印 >은 중국에서 한대< 漢代 > 이래 사린< 四隣 >의 제국< 諸國 >의 장< 長 >에게 준 관인< 官印 >의 하나로 진대< 晋代 >에 예백장< 穢伯長 >에게 준 동인< 銅印 >임이 같은 진대< 晋代 >의「진율선호백장< 晋率善胡伯長 >」의 인< 印 >과 수뉴< 獸뉴 >나 법량< 法量 >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인정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