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문칠우 - 목심( 木心 )에 채화칠문( 彩畵漆文 )이 있는 유물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평남< 平南 > 대동군< 大同郡 > 대동강면< 大同江面 > 석암리< 石巖里 > 대석암동< 大石巖洞 >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목심< 木心 >에 채화칠문< 彩畵漆文 >이 있는 유물이다.
안쪽에는 주칠< 朱漆 >하고 안쪽 밑바닥 원심< 圓心 >에서 몇 개의 동심원< 同心圓 >을 그리고 중앙에서부터 적< 赤 > ·청< 靑 > ·녹< 綠 >의 삼채화< 三彩畵 >의 운용< 雲龍 >을 그렸다. 밖에는 흑청녹< 黑靑綠 > 삼채< 三彩 >의 과운문< 過雲文 >, 외곽에 중권문< 重圈文 >과 능형점선문< 菱形點線文 >이 그려져 있다. 그릇 상단에는 청< 靑 > ·녹< 綠 > ·황< 黃 > 삼채< 三彩 >로 점선연전문< 點線燃纏文 >을 돌린 위에 동제< 銅製 > 복륜< 覆輪 >을 씌웠다. 그릇 바깥쪽에는 흑칠< 黑漆 >한 다음 상중하 3구로 구분하고, 상구에는 황< 黃 > ·갈< 褐 > 2채< 彩 >로 유운문대< 流雲文帶 >를 돌렸고, 중구에는 청< 靑 > ·녹< 綠 > 2채< 彩 >로 운기< 雲氣 > ·산악< 山岳 > ·금수< 禽獸 >를 그렸으며, 하구에는 능운문대< 菱雲文帶 >를 돌렸다. 그릇 위쪽 두 곳에 밖에는 동제< 銅製 > 수환< 獸環 > 손잡이를 달고 안에는 선형< 蟬形 >으로 수면< 獸面 >을 고정시켰다. 밑에는 동제< 銅製 >의 병형< 병形 > 세 발이 붙어 있다.
채화< 彩畵 >가 선명하고 특히 여러 가지 색을 조화되게 사용하였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귀중한 자료라고 하겠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