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고려< 高麗 >시대에 다수 제작된 상감청자 매병 중의 하나인데, 다른 매병에 비해 어깨가 처져서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밑이 넓어서 안정감이 있다.
유약은 잘 녹아 투명하며, 긴 빙열< 氷裂 >이 있고, 발색< 發色 >도 매우 아름답다. 주둥이는 다른 매병과 같이 작고 입술은 위가 약간 바깥으로 말리면서 직립하였다. 어깨에는 흑백으로 상감된 단판< 單瓣 > 중엽< 重葉 >의 복련대< 伏蓮帶 >가 있고, 굽 위에는 얕은 뇌문대< 雷文帶 >를 백상감한 다음 그 위에 단판< 單瓣 > 중엽< 重葉 >의 앙련대< 仰蓮帶 >를 다시 색으로 상감한 모단< 牡丹 >과 국화< 菊花 > 한 가지씩을 각각 안에 두고, 흑백 두 선을 돌린 원권문< 圓圈文 >을 4단에 걸쳐 어긋나게 배치했다. 그 사이 공간은 운학< 雲鶴 >으로 채워져 있는데, 구름은 백색이고 학의 부리와 다리는 흑색으로 표현하는 보통 양식을 따랐다. 바닥은 유약을 훑어내는, 이 또한 보통 양식을 따랐고, 내화토< 耐火土 >와 모래를 빚어서 고았다. 12세기< 世紀 >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高麗 >시대에 다수 제작된 상감청자 매병 중의 하나인데, 다른 매병에 비해 어깨가 처져서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밑이 넓어서 안정감이 있다.
유약은 잘 녹아 투명하며, 긴 빙열< 氷裂 >이 있고, 발색< 發色 >도 매우 아름답다. 주둥이는 다른 매병과 같이 작고 입술은 위가 약간 바깥으로 말리면서 직립하였다. 어깨에는 흑백으로 상감된 단판< 單瓣 > 중엽< 重葉 >의 복련대< 伏蓮帶 >가 있고, 굽 위에는 얕은 뇌문대< 雷文帶 >를 백상감한 다음 그 위에 단판< 單瓣 > 중엽< 重葉 >의 앙련대< 仰蓮帶 >를 다시 색으로 상감한 모단< 牡丹 >과 국화< 菊花 > 한 가지씩을 각각 안에 두고, 흑백 두 선을 돌린 원권문< 圓圈文 >을 4단에 걸쳐 어긋나게 배치했다. 그 사이 공간은 운학< 雲鶴 >으로 채워져 있는데, 구름은 백색이고 학의 부리와 다리는 흑색으로 표현하는 보통 양식을 따랐다. 바닥은 유약을 훑어내는, 이 또한 보통 양식을 따랐고, 내화토< 耐火土 >와 모래를 빚어서 고았다. 12세기< 世紀 >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