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삼국< 三國 >시대 고분< 古墳 >에서 발견되는 금속제 식복< 飾覆 >와 같은 성격을 띤 명기< 明器 >이지만 형태는 전혀 다르다.
코가 우뚝 들렸고 양옆과 뒤는 수직으로 서 있다. 바닥은 뒷굽 없이 편평하며 뒤쪽 위에는 턱을 대어서 벗겨지지 않도록 하였다. 코 뒤에 작은 구멍이 하나씩 있고 좌우에도 한 짝엔 4개, 다른 짝엔 5개의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구멍에 끈을 꿰어 신었던 모양이다. 좌우 구멍 위에서 코에 걸쳐 점선< 點線 >으로 한쪽에는 사선< 斜線 >, 다른 한쪽에 어골문< 魚骨文 > 비슷한 문양을 얕게 새겼다.
아마도 손으로 빚어 만든 듯 표면이 고르지 않고 두 개의 모양도 꼭 같지 않다. 출토지가 분명하지 않음은 유감이지만 토제< 土製 >신으로는 상당히 우수한 작품이어서 고대 명기< 明器 >의 양상을 밝혀준 점에서 귀중한 유물이다.
삼국< 三國 >시대 고분< 古墳 >에서 발견되는 금속제 식복< 飾覆 >와 같은 성격을 띤 명기< 明器 >이지만 형태는 전혀 다르다.
코가 우뚝 들렸고 양옆과 뒤는 수직으로 서 있다. 바닥은 뒷굽 없이 편평하며 뒤쪽 위에는 턱을 대어서 벗겨지지 않도록 하였다. 코 뒤에 작은 구멍이 하나씩 있고 좌우에도 한 짝엔 4개, 다른 짝엔 5개의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구멍에 끈을 꿰어 신었던 모양이다. 좌우 구멍 위에서 코에 걸쳐 점선< 點線 >으로 한쪽에는 사선< 斜線 >, 다른 한쪽에 어골문< 魚骨文 > 비슷한 문양을 얕게 새겼다.
아마도 손으로 빚어 만든 듯 표면이 고르지 않고 두 개의 모양도 꼭 같지 않다. 출토지가 분명하지 않음은 유감이지만 토제< 土製 >신으로는 상당히 우수한 작품이어서 고대 명기< 明器 >의 양상을 밝혀준 점에서 귀중한 유물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