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덕대왕신종 - 성덕왕의 위업을 추앙하기 위하여 구리 12만근을 들여 주조...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신라< 新羅 > 경덕왕< 景德王 >은 부왕< 父王 >인 성덕왕의 위업< 偉業 >을 추앙< 推仰 >하기 위하여 구리 12만근을 들여 이 대종을 주조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돌아갔다. 그 뒤를 이어 아들 혜공왕< 惠恭王 >이 부왕의 뜻을 받들어 동왕< 同王 > 7년(771)에 이 종을 완성하고 성덕대왕신종이라 하였다. 이 종은 처음 봉덕사< 奉德寺 >에 받들어 달았으므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종을 부을 때 아기를 시주< 施主 >하여 넣었다는 애틋한 속전< 俗傳 >이 있어 에밀레종이라고도 불러 왔다. 봉덕사가 폐사< 廢寺 >된 뒤 영묘사< 靈廟寺 >로 옮겼다가 다시 봉황대< 鳳凰臺 > 옆에 종각< 鐘閣 >을 지어 보존하고 있었다. 1915년 종각과 함께 동부동< 東部洞 > 구박물관< 舊博物館 >으로 옮겼으며, 박물관이 이곳으로 신축 이전하게 되어 1975년 5월 26일에 이 종각으로 옮겨 달았다. 종의 입둘레는 팔능형< 八稜形 >이고 종머리에는 용머리와 음관< 音管 >이 있다. 특히 음관은 우리나라 종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로서 맑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게 한다고 한다. 종 몸체 상하에는 견대< 肩帶 >와 구대< 口帶 >가 있고 견대 밑 네 곳에 유곽< 乳廓 >이 있고 유곽안에 9개의 유두< 乳頭 >가 있다. 몸체의 좌우에는 이 신종의 내력을 적은 양주< 陽鑄 > 명문< 銘文 >이 있으며 앞뒤에는 두 개의 당좌< 撞座 >가 있고, 유곽 밑 네 곳에는 구름을 타고 연화좌< 蓮華座 >에 앉아 향로를 받는 공양천인상< 供養天人像 >이 천의< 天衣 > 자락을 휘날리고 있다. 산과 같이 크고 우람하나 조화와 균형이 알맞고 종소리 또한 맑고 거룩하여 그 긴 여운은 은은하게 영원으로 이어진다.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25∼11cm, 무게 약 25톤이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