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이천시 설성면 자석1∼2리 51
이천자석리석불입상은 자석리의 남쪽 산기슭에 위치한 용화사< 龍華寺 > 경내에 주존불< 主尊佛 >로 노천에 봉안되어 있다.
이 석불이 있는 곳은 예로부터 미륵당이라고 전하는데, 높직한 석축을 쌓고 그 중앙에 석불을 모시고 있다. 전체 2개의 석재로 이루어졌고, 머리에는 원형의 개석< 蓋石 >이 얹혀 있다. 상호는 긴 타원형으로 이마의 중앙에는 백호가 표현되었고, 양눈썹과 눈, 돌출된 코 및 작은 입이 묘사되어 있다. 양귀는 비교적 짧고, 목에는 삼도가 돌려져 있다. 얼굴의 크기에 비해 각 부의 표현이 작게 묘사되어 전체적으로 조화와 균형을 잃고 있다.
법의< 法衣 >는 통견으로 희미한 의문< 衣文 >이 아래쪽을 향해 전개되고 있는데, 양손의 표현과 더불어 마멸이 심해 정확한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다. 뒷면은 아무런 조각 없이 편평하게 처리하였다. 상호와 더불어 짧은 목, 몸체에 비해 좁은 어깨, 간략화된 옷주름 등에서 고려시대후반의 불상양식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천자석리석불입상은 자석리의 남쪽 산기슭에 위치한 용화사< 龍華寺 > 경내에 주존불< 主尊佛 >로 노천에 봉안되어 있다.
이 석불이 있는 곳은 예로부터 미륵당이라고 전하는데, 높직한 석축을 쌓고 그 중앙에 석불을 모시고 있다. 전체 2개의 석재로 이루어졌고, 머리에는 원형의 개석< 蓋石 >이 얹혀 있다. 상호는 긴 타원형으로 이마의 중앙에는 백호가 표현되었고, 양눈썹과 눈, 돌출된 코 및 작은 입이 묘사되어 있다. 양귀는 비교적 짧고, 목에는 삼도가 돌려져 있다. 얼굴의 크기에 비해 각 부의 표현이 작게 묘사되어 전체적으로 조화와 균형을 잃고 있다.
법의< 法衣 >는 통견으로 희미한 의문< 衣文 >이 아래쪽을 향해 전개되고 있는데, 양손의 표현과 더불어 마멸이 심해 정확한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다. 뒷면은 아무런 조각 없이 편평하게 처리하였다. 상호와 더불어 짧은 목, 몸체에 비해 좁은 어깨, 간략화된 옷주름 등에서 고려시대후반의 불상양식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