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장군 기장읍 교리 62
광해군9년(1617)에 창건되었다고 하며, 1855년의 성묘중수기聖廟重修記)가 남아 있는데, 지금 남아 있는 경내의대부분의건물은 이때 조성된 것이라 한다.
입구에는 홍살문을 세웠던 지주2기가 남아 있으나 최근 파손되건물의 배치형식은 직선축에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전형적 배치로 경사지의 위계성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입구에는 홍살문을 세웠던 지주 2기가 남아 있으나 최근 파손되어 방치된 채 남아 있다.
외삼문은 3칸의 솟을대문으로 만들었고, 세심문(洗心門)이라는 현판을 달았다.
대개 누각이 대문의 기능을 겸하는 것과는 달리 기장향교에는 세심문 뒤로 풍화루(風化樓)가 장대하게 자리한다.
정면3칸, 측면2칸 규모에 중층(中層)의 풍화루는 익공(翼工)양식에 겹처마, 팔작지붕의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취하고 있다.
명륜당에는 동재와 서재가 있는 반면 대성전에는 동무와 서무가 없다.
명륜당은 양쪽에 1칸씩의 교리실(敎吏室)이 온돌로 되어 있고 가운데 3칸의 우물마루로 되어 있다.
대성전 정면은 기둥의 중간부분까지 초석이 올라와 독특한 입면을 이루고, 양쪽 측면 벽에도 다시 방화벽을 잡석으로 쌓아 풍우로부터 보호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정면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인 대성전 내부는 넓은 대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칸에는 공자의 위패와 중국 5현(賢)의 위패를 모셨고, 양 측면으로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셨다.
[대중교통]
구 군청사 앞에서 하차 향교까지 200m이내
마을버스(기장6번) : 죽성↔기장시장↔기장군청 - 마을버스(기장7번) : 청강2주공↔기장군청↔철마(웅천) - 시내버스 : 142, 63-1, 239, 181, 183
광해군9년(1617)에 창건되었다고 하며, 1855년의 성묘중수기聖廟重修記)가 남아 있는데, 지금 남아 있는 경내의대부분의건물은 이때 조성된 것이라 한다.
입구에는 홍살문을 세웠던 지주2기가 남아 있으나 최근 파손되건물의 배치형식은 직선축에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전형적 배치로 경사지의 위계성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입구에는 홍살문을 세웠던 지주 2기가 남아 있으나 최근 파손되어 방치된 채 남아 있다.
외삼문은 3칸의 솟을대문으로 만들었고, 세심문(洗心門)이라는 현판을 달았다.
대개 누각이 대문의 기능을 겸하는 것과는 달리 기장향교에는 세심문 뒤로 풍화루(風化樓)가 장대하게 자리한다.
정면3칸, 측면2칸 규모에 중층(中層)의 풍화루는 익공(翼工)양식에 겹처마, 팔작지붕의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취하고 있다.
명륜당에는 동재와 서재가 있는 반면 대성전에는 동무와 서무가 없다.
명륜당은 양쪽에 1칸씩의 교리실(敎吏室)이 온돌로 되어 있고 가운데 3칸의 우물마루로 되어 있다.
대성전 정면은 기둥의 중간부분까지 초석이 올라와 독특한 입면을 이루고, 양쪽 측면 벽에도 다시 방화벽을 잡석으로 쌓아 풍우로부터 보호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정면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인 대성전 내부는 넓은 대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칸에는 공자의 위패와 중국 5현(賢)의 위패를 모셨고, 양 측면으로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셨다.
[대중교통]
구 군청사 앞에서 하차 향교까지 200m이내
마을버스(기장6번) : 죽성↔기장시장↔기장군청 - 마을버스(기장7번) : 청강2주공↔기장군청↔철마(웅천) - 시내버스 : 142, 63-1, 239, 181, 18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