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국사삼층석탑(석가탑) - 신라 삼층 석탑의 전형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 불국사

불국사 대웅전 앞뜰에 동서로 세워진 두 탑 중 서쪽에 있는 탑. 2층 기단 위에 세워진 일반형 석탑. 기단부는 몇 장의 돌로 결구(結構)되었고, 아래위 면석(面石)은 탱주 둘을 세워 3구(區)로 구분하였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屋蓋石)이 각각 한 돌로 되어 있다. 옥신(屋身)에는 우주(隅柱)가 표현되어 있으며, 옥개받침은 층마다 5단. 상륜부(相輪部)는 노반(路盤)·복발(覆鉢)·앙화(仰花)까지만 남고 나머지는 없어졌다. 특히 탑 주위에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연화(蓮華)가 조각된 8개의 둥근 돌을 돌리고, 이들 연화석 사이에 긴 돌을 끼워 경계를 삼았는데, 이것이 이른바 '팔방금강좌(八方金剛座)'이다. 정역(淨域)을 나타내기 위한 시설이라고도 해석된다. 한편으로 연화대(蓮華臺) 위에 8보살(菩薩)을 안치하여 공양하는 의태(意態)를 나타내려 한 것일 수도 있겠다.
이 탑은 일명 석가탑이라고 하는데, 동쪽의 다보탑에 대한 호칭으로, '법화경(法華經)'에 보이는 석가여래(釋迦如來) 상주설법(常住說法)의 상(相) 곧 다보여래(多寶如來)와 나란히 앉기 이전의 상(相)으로 해석된다. 동서 두 탑의 대조가 묘할 뿐 아니라 조형이 소박 장중하다. 신라 석탑 중에서 하나의 전형이라고 할 만하다.
사기(寺記)에 따르면 불국사 창건은 일찍이 법흥왕대(法興王代)의 일이라고 하나, 지금의 모습을 갖추기는 경덕왕(景德王) 10년(751)이므로, 김대성(金大城)이 대규모로 중창한 이후 이 탑이 건립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