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북구 충효동 440
이 비각은 임진왜란< 壬辰倭亂 > 때의 의병장< 義兵將 > 김덕령< 金德齡 >(1567∼1596) 장군 일가의 애국충절< 愛國忠節 >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이 비각 내에는 정조< 正祖 >가 김덕령 장군과 금산< 錦山 >에서 전사< 戰死 >한 그의 형 덕홍< 德弘 >, 왜병< 倭兵 >에게 굴하지 않고 순절한 그의 처 흥양이씨< 興陽李氏 >, 노모< 老母 >에게 효성< 孝誠 >이 지극했던 아두 덕보< 德普 > 등의 충< 忠 >·효< 孝 >·열< 烈 >을 표창하기 위하여 마을 이름을 충효리로 사명< 賜名 >한 표리비< 表里碑 >가 있다. 비의 앞면은 "조선국증좌찬성충장공김덕령증정경부인흥양이씨충효지리< 朝鮮國贈左贊成忠壯公金德齡贈貞敬夫人興陽李氏忠孝之里 >"라 하였고, 뒷면에는 장군일가의 충·효·열을 찬양하여 충효리의 유래를 밝히고 있다. 비각의 형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고, 정조의 윤음< 綸音 >과 표리비의 상량문< 上樑文 >, 중수기< 重修記 > 등이 있다.
이 비각은 임진왜란< 壬辰倭亂 > 때의 의병장< 義兵將 > 김덕령< 金德齡 >(1567∼1596) 장군 일가의 애국충절< 愛國忠節 >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이 비각 내에는 정조< 正祖 >가 김덕령 장군과 금산< 錦山 >에서 전사< 戰死 >한 그의 형 덕홍< 德弘 >, 왜병< 倭兵 >에게 굴하지 않고 순절한 그의 처 흥양이씨< 興陽李氏 >, 노모< 老母 >에게 효성< 孝誠 >이 지극했던 아두 덕보< 德普 > 등의 충< 忠 >·효< 孝 >·열< 烈 >을 표창하기 위하여 마을 이름을 충효리로 사명< 賜名 >한 표리비< 表里碑 >가 있다. 비의 앞면은 "조선국증좌찬성충장공김덕령증정경부인흥양이씨충효지리< 朝鮮國贈左贊成忠壯公金德齡贈貞敬夫人興陽李氏忠孝之里 >"라 하였고, 뒷면에는 장군일가의 충·효·열을 찬양하여 충효리의 유래를 밝히고 있다. 비각의 형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고, 정조의 윤음< 綸音 >과 표리비의 상량문< 上樑文 >, 중수기< 重修記 > 등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