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북구 망월동 산176
이곳은 고려말< 高麗末 >의 명장< 名將 >인 정지< 鄭地 >(1347∼1391) 장군< 將軍 >의 묘소이다. 장군의 초명< 初名 >은 준제< 准提 >, 시호< 諡號 >는 경렬< 景烈 >이며 본관< 本貫 >은 하동< 河東 >이다. 공민왕< 恭愍王 > 23년(1374)에 수군< 水軍 >에 대한 헌책< 獻策 >을 하여 전라도안무사< 全羅道按撫使 >로 특명되고, 우왕< 禑王 > 3년(1377)에는 순천도병마사< 順天都兵馬使 >로 왜구< 倭寇 >를 격퇴하였다. 우왕 14년(1388)에 위화도회군< 威化島回軍 >에 종군하였고 이듬해에는 양광< 楊廣 >·전라< 全羅 >·경상도절제체찰사< 慶尙道節制體察使 >가 되었다. 공양왕< 恭讓王 > 2년(1390)에 2등공신< 二等功臣 >이 되고 광주에 있다가 병사< 病死 >하였다. 석조< 石造 >로 된 묘< 墓 >는 둘레 19.3m, 높이 1m이며 묘비< 墓碑 >와 석인2기< 石人二基 >가 있다.
이곳은 고려말< 高麗末 >의 명장< 名將 >인 정지< 鄭地 >(1347∼1391) 장군< 將軍 >의 묘소이다. 장군의 초명< 初名 >은 준제< 准提 >, 시호< 諡號 >는 경렬< 景烈 >이며 본관< 本貫 >은 하동< 河東 >이다. 공민왕< 恭愍王 > 23년(1374)에 수군< 水軍 >에 대한 헌책< 獻策 >을 하여 전라도안무사< 全羅道按撫使 >로 특명되고, 우왕< 禑王 > 3년(1377)에는 순천도병마사< 順天都兵馬使 >로 왜구< 倭寇 >를 격퇴하였다. 우왕 14년(1388)에 위화도회군< 威化島回軍 >에 종군하였고 이듬해에는 양광< 楊廣 >·전라< 全羅 >·경상도절제체찰사< 慶尙道節制體察使 >가 되었다. 공양왕< 恭讓王 > 2년(1390)에 2등공신< 二等功臣 >이 되고 광주에 있다가 병사< 病死 >하였다. 석조< 石造 >로 된 묘< 墓 >는 둘레 19.3m, 높이 1m이며 묘비< 墓碑 >와 석인2기< 石人二基 >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