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덕릉마을산신각 - 조선시대에 형성된 전형적인 마을 신앙의 한 모습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남양주시 별내면 덕송1∼2리 산5

남양주시 별내면 덕릉 마을에 있는 산신각은 해마다 음력 1월과 10월에 마을에서 산신제를 지내고 있는 곳이다. 산신각은 약 300여평 대지에 3.1m×4.1m 크기의 기단위에 1칸 크기의 기와집이 있는 형태인데 앞부분은 비워두고 뒷부분에 방을 꾸몄다(전당후당<前堂後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양 옆에는 비바람을 막기 위해 풍판<風板>을 달았다. 산신각 전체에 책걸이·꽃·쌍희문<雙喜文> 등을 새겨 화려한 단청을 하였으나 많이 퇴색되어 있다. 후실 안 정면에는 탱화풍의 산신도가 모셔져 있는데, 중앙에 산신, 왼쪽에 호랑이, 오른쪽에 동자<童子> 2명·선도낭자<仙桃娘子> 1명·다승<茶僧> 1명을 배치하고 있다. 마을 사람들이 이 산신을 수락산신으로 인식하고 있다. 산신각은 목재과 단청, 그리고 장식으로 보아 다른 지역의 산신각에 비해 격식 있게 지어진 건물로 건립한 지도 11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건물에서 지금도 산신제를 지내고 있다. 정월과 10월 초하루에 날을 받아 마을 사람들 가운데에서 깨끗하고 생기복덕이 많은 사람으로 화주 1명을 뽑아서 밤에 조용히 유교식으로 제를 지내는데, 제물은 소머리로 한다. 이러한 산신각과 산신 탱화, 산신제의 내용은 전통적인 산신 신앙과 불교 신앙 그리고 유교 의례의 요소가 융합되어 조선시대에 형성된 전형적인 마을 신앙의 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