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이천시 백사면 도립1∼2리 201-11
지상 약 2m정도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져 수관이 왕후의 어여머리형을 연상케 하며, 또한 하늘을 향한 가지는 마치 용틀임하는 것같이 기묘한 모습으로 비틀리면서 180°휘어진 가지와 빗장가지 모습을 하고 있다. 이들 가지의 길이는 남쪽의 것이 가장 길며, 순차적으로 동·서·북순이고, 굵기는 길이와 정반대로 북쪽의 것이 가장 굵다. 반룡송은 이천시청으로부터 북쪽으로 8.6㎞, 백사면사무소에서 서쪽으로 1.7㎞, 도립리의 어산마을에서 북쪽으로 약 500m 거리에 있으며, 주변 일대가 경작지로 둘러싸여 있고, 바로 뒤쪽에는 인접하여 소규모의 활엽수림이 있어서 반룡송의 보호는 물론 주변경관과도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서북쪽으로 직선거리 약 2.5㎞ 위치에는 해발 557m의 원적산<圓寂山>이 있고, 그 뒤쪽 약 1㎞ 떨어진 곳에 천덕봉<天德峰>이 있다. 신라말 도선<道詵>이 명당을 찾아 이곳과 함흥, 서울, 강원도, 계룡산에 장차 큰 인물이 태어날 것이라고 예언하면서 심어놓은 뱀솔 중 1주라는 전설이 있으며, 이곳은 조선시대 지리학자인 이중환<李重煥>이 자신의 저서 택리지에 복거지<卜居地>로 칭할 정도로 지세가 좋은 곳이다. 이중환은 택리지에 이르기를 함흥에서는 이태조<李太祖>, 서울에서는 영조<英祖>, 계룡산에서는 정감<鄭鑑>이 태어났으니 앞으로 이곳에서 큰 인물이 태어날 것이라 하였으며, 역사적으로도 이 일대에서는 과거급제자가 많이 배출되었고 현재도 고시합격자가 매년 잇달아 나오고 있다고 한다. 이 나무의 이름은 하늘에 오르기 전에 땅에 서리고 있는 용<龍>이라 하여 반룡송<蟠龍松>이라 부르는데, 혹자는 일만년 이상 장수할 용송<龍松>이라하여 만년송<萬年松>이라고도 한다. 민간에서는 이 나무의 껍질을 벗긴 사람이 칭병<稱病>으로 죽었다는 얘기도 전해지고 있으며, 또한 이 나무를 훼손한 자는 반드시 화<禍>를 입는다는 전설이 있다.
지상 약 2m정도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져 수관이 왕후의 어여머리형을 연상케 하며, 또한 하늘을 향한 가지는 마치 용틀임하는 것같이 기묘한 모습으로 비틀리면서 180°휘어진 가지와 빗장가지 모습을 하고 있다. 이들 가지의 길이는 남쪽의 것이 가장 길며, 순차적으로 동·서·북순이고, 굵기는 길이와 정반대로 북쪽의 것이 가장 굵다. 반룡송은 이천시청으로부터 북쪽으로 8.6㎞, 백사면사무소에서 서쪽으로 1.7㎞, 도립리의 어산마을에서 북쪽으로 약 500m 거리에 있으며, 주변 일대가 경작지로 둘러싸여 있고, 바로 뒤쪽에는 인접하여 소규모의 활엽수림이 있어서 반룡송의 보호는 물론 주변경관과도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서북쪽으로 직선거리 약 2.5㎞ 위치에는 해발 557m의 원적산<圓寂山>이 있고, 그 뒤쪽 약 1㎞ 떨어진 곳에 천덕봉<天德峰>이 있다. 신라말 도선<道詵>이 명당을 찾아 이곳과 함흥, 서울, 강원도, 계룡산에 장차 큰 인물이 태어날 것이라고 예언하면서 심어놓은 뱀솔 중 1주라는 전설이 있으며, 이곳은 조선시대 지리학자인 이중환<李重煥>이 자신의 저서 택리지에 복거지<卜居地>로 칭할 정도로 지세가 좋은 곳이다. 이중환은 택리지에 이르기를 함흥에서는 이태조<李太祖>, 서울에서는 영조<英祖>, 계룡산에서는 정감<鄭鑑>이 태어났으니 앞으로 이곳에서 큰 인물이 태어날 것이라 하였으며, 역사적으로도 이 일대에서는 과거급제자가 많이 배출되었고 현재도 고시합격자가 매년 잇달아 나오고 있다고 한다. 이 나무의 이름은 하늘에 오르기 전에 땅에 서리고 있는 용<龍>이라 하여 반룡송<蟠龍松>이라 부르는데, 혹자는 일만년 이상 장수할 용송<龍松>이라하여 만년송<萬年松>이라고도 한다. 민간에서는 이 나무의 껍질을 벗긴 사람이 칭병<稱病>으로 죽었다는 얘기도 전해지고 있으며, 또한 이 나무를 훼손한 자는 반드시 화<禍>를 입는다는 전설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