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궐도 - 경복궁 동쪽에 있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함께 그린 그림

by 넥스루비 2007. 8. 7.
부산 서구 동대신동3가 동아대학교구덕캠퍼스

이 동궐도는 본궁인 경복궁의 동쪽의 위치한 창덕궁과 창경궁을 함께 그린 그림이다.
16첩 병풍으로 꾸며져 있으며 이와 똑같은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동궐도와 비교해 보아도 원래 16개의 화첩으로 되어 있었던 것임을 알구 있다.
또한 고려대학교 소장품의 표면에 동궐도 인으로 표기되어 있는 점을 보아 동궐도는 본래 천, 지, 인의 3본이 작성되었던 것으로 짐작되며, 이 작품과 고려대학교 소장본 외에 한질이 더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비단에 먹과 채색을 써서 창덕궁과 창경궁의 수많은 건축물과 조원, 그 밖의 시설물 등 산과 언덕에 둘러싸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 모습을 오른쪽 위에서 내려다보는 부감법으로 세밀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궁궐 주위의 산과 언덕들은 남종화풍의 필법으로 그려졌으나, 건물의 표현과 원근처리 등에는 서양화법의 영향도 엿보인다.
그러나 이 그림은 궁궐의 배치,건축물과 각종시설, 조원의 원상을 파악하는 생생한 자료로서, 회화성보다는 조선시대 궁궐의 연구에 더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아울러 파괴, 훼손되어 없어진 건물이나 시설물 등을 19세기경의 원형대로 복원하는 고증 자료로서도 사료적 가치가 더욱 크다 하겠다.
이 그림의 작가는 알수 없으나 도하서의 화원들이 그린 것으로 생각되며, 제작년대는 궁궐 건물의 소실이나 재건년대 등으로 보아 1826년에서 1831년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대중교통]
지하철 동대신동역에 하차 후 동아대구덕캠퍼스까지 도보로 약 10분소요.
버스로는 68,168번이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