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십신사지석불 - 고려시대( 高麗時代 ) 지방양식( 地方樣式 )을 잘 나타내는 작품

by 넥스루비 2007. 8. 7.
이 석불은 대황사지< 大皇寺址 >에서 구< 舊 > 광주농고< 光州農高 >터로 옮겼다가 다시 이곳으로 옮겨 온 것이다. 8각 석주형< 石柱形 >의 이 석불은 얼굴과 손·옷주름·대좌< 臺座 > 등을 간신히 표현하였다. 머리는 민머리이나 보관< 寶冠 >을 썼던 것으로 보이며, 얼굴은 소략< 疏略 >한 모습으로 토속적< 土俗的 >인 수호신< 守護神 >의 표정을 짓고 있다. 신체는 통견< 通肩 >의 불의< 佛衣 >에 오른손은 보주< 寶珠 > 같은 것을 쥐고 있고, 왼손은 내려 가사< 袈裟 >를 잡고 있는데, 얼굴에 비해 경직< 硬直 >되고 퇴화< 退化 >된 모습이다. 대좌는 연화문< 蓮華紋 >과 화불< 化佛 >이 새겨져 있는데 역시 딱딱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처럼 신체의 표현이 간략하고 괴체화< 塊體化 >된 거대한 석상< 石像 >으로 고려시대< 高麗時代 > 지방양식< 地方樣式 >을 잘 나타내는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석비는 십신사지에서 전해오는 것으로 구 광주농고터에서 현 위치로 옮긴 것이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