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 동산동 194
Switer주택은 Mcfarland, Erdman주택과 거의 같은 시기에 건축되어 Miss Marttha Switzer, H.H.Henderson, Archibad Campbel 등의 선교사<宣敎師>들이 살았다. 1981년 8월에 동산의료재단<東山醫療財團>에서 인수하여 사택으로 사용하면서 한식기와를 함석으로 교체하고 내부의 마감재료 일부를 바꾸었으나 건물의 형태<形態>나 구조<構造>는 그대로 잘 보존되고 있다. 스윗즈 주택은 붉은 벽돌쌓기 2층 건물이다. 평면구성<平面構成>은 남쪽 우측<右側>에 현관<玄關>으로 이어지는 베란다를 두고 현관 홀을 통하여 거실과 응접실<應接室>을 직접 연결하였으며, 거실을 중심으로 침실<寢室>, 계단실<階段室>, 욕실<浴室>, 주방<廚房>, 식당<食堂> 등을 배치하였다. 2층에는 계단홀을 중심으로 남쪽에 2개의 침실<寢室>을 두고 북쪽에는 욕실<浴室>을 배치했다. 외관<外觀>은 안산암의 성<城> 바른층쌓기한 기초위에 붉은 벽돌을 미국식쌓기(4단 길이쌓기, 1단 마구리쌓기)하고 층간에는 cornice로 장식하였다. 창문<窓門>은 목재<木材> 오르내리창이고 상인방은 결원 arch로 장식하였다. 지붕은 한식기와를 이은 박공지붕으로 남쪽면과 북쪽면이 shed형으로 되어 있으나 1981년 8월 한식기와를 함석으로 개조하였다. 건물 내부<內部>는 바닥이 마루장판이고, 천장은 널판재를 대고 목재<木材> 반자돌림띠를 돌렸으며, 벽<壁>은 적벽돌위에 회반죽으로 마감하여 벽지<壁紙>를 붙였다. 참고문헌 으로는 대구광역시《대구 지역 근대 건축물 조사 보고서,1988》가 있다.
Switer주택은 Mcfarland, Erdman주택과 거의 같은 시기에 건축되어 Miss Marttha Switzer, H.H.Henderson, Archibad Campbel 등의 선교사<宣敎師>들이 살았다. 1981년 8월에 동산의료재단<東山醫療財團>에서 인수하여 사택으로 사용하면서 한식기와를 함석으로 교체하고 내부의 마감재료 일부를 바꾸었으나 건물의 형태<形態>나 구조<構造>는 그대로 잘 보존되고 있다. 스윗즈 주택은 붉은 벽돌쌓기 2층 건물이다. 평면구성<平面構成>은 남쪽 우측<右側>에 현관<玄關>으로 이어지는 베란다를 두고 현관 홀을 통하여 거실과 응접실<應接室>을 직접 연결하였으며, 거실을 중심으로 침실<寢室>, 계단실<階段室>, 욕실<浴室>, 주방<廚房>, 식당<食堂> 등을 배치하였다. 2층에는 계단홀을 중심으로 남쪽에 2개의 침실<寢室>을 두고 북쪽에는 욕실<浴室>을 배치했다. 외관<外觀>은 안산암의 성<城> 바른층쌓기한 기초위에 붉은 벽돌을 미국식쌓기(4단 길이쌓기, 1단 마구리쌓기)하고 층간에는 cornice로 장식하였다. 창문<窓門>은 목재<木材> 오르내리창이고 상인방은 결원 arch로 장식하였다. 지붕은 한식기와를 이은 박공지붕으로 남쪽면과 북쪽면이 shed형으로 되어 있으나 1981년 8월 한식기와를 함석으로 개조하였다. 건물 내부<內部>는 바닥이 마루장판이고, 천장은 널판재를 대고 목재<木材> 반자돌림띠를 돌렸으며, 벽<壁>은 적벽돌위에 회반죽으로 마감하여 벽지<壁紙>를 붙였다. 참고문헌 으로는 대구광역시《대구 지역 근대 건축물 조사 보고서,1988》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