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뚜껑과 받침·수저 등이 완전한 형태의 세트를 이룬 채 고스란히 전해져 내려온 유례< 遺例 >는 청자기류< 靑磁器類 > 중에서도 희귀한 일이다. 능숙한 상감< 象嵌 >기법에 의한 문양표현도 돋보이거니와, 이 정도의 유물이라면 왕족계층< 王族階層 >에서나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뚜껑·대접·받침 전면< 全面 >에 걸쳐 문양이 상감되어 있는데, 용< 龍 >과 봉황, 운관< 雲관 >과 모단 절지< 牡丹 折枝 > 등에다 연판문대< 蓮瓣文帶 >·뢰문대< 雷文帶 >·여의두문대< 如意頭文帶 > 등 당시 상감문양으로 사용되었던 문양은 거의 망라되어 있다. 유약< 釉藥 >은 잔잔한 식은테가 있고, 일부 황녹색< 黃綠色 >을 띠고 있으며, 뚜껑·대접·받침 모두에 모래를 받쳤던 흔적이 있다.
뚜껑과 받침·수저 등이 완전한 형태의 세트를 이룬 채 고스란히 전해져 내려온 유례< 遺例 >는 청자기류< 靑磁器類 > 중에서도 희귀한 일이다. 능숙한 상감< 象嵌 >기법에 의한 문양표현도 돋보이거니와, 이 정도의 유물이라면 왕족계층< 王族階層 >에서나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뚜껑·대접·받침 전면< 全面 >에 걸쳐 문양이 상감되어 있는데, 용< 龍 >과 봉황, 운관< 雲관 >과 모단 절지< 牡丹 折枝 > 등에다 연판문대< 蓮瓣文帶 >·뢰문대< 雷文帶 >·여의두문대< 如意頭文帶 > 등 당시 상감문양으로 사용되었던 문양은 거의 망라되어 있다. 유약< 釉藥 >은 잔잔한 식은테가 있고, 일부 황녹색< 黃綠色 >을 띠고 있으며, 뚜껑·대접·받침 모두에 모래를 받쳤던 흔적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