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미타삼존도 - 세련된 얼굴 표정과 늘씬한 몸매의 표현 기법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아미타삼존상< 阿彌陀三尊像 >인데, 협시보살< 脇侍菩薩 >이 아미타삼존< 阿彌陀三尊 >의 일반형식인 관음< 觀音 >과 세지< 勢至 > 보살< 菩薩 >이 아니고, 관음< 觀音 >과 지장< 地藏 >인 점이 특이하다. 지장보살< 地藏菩薩 >은 오른쪽 옆구리에 보주< 寶珠 >를 오른손으로 받쳐 들고 서 있으며, 관음보살< 觀音菩薩 >은 허리를 약간 구부리고 서 있다. 삼존상< 三尊像 > 앞에는 극락왕생인< 極樂往生人 >으로 추정되는 작은 인물상< 人物像 >이 삼존< 三尊 >을 바라보고 합장< 合掌 >하며, 앉아 있는 모습을 묘사해 놓았다. 아미타< 阿彌陀 > 본존< 本尊 >이 발하는 빛이 이 소인물< 小人物 >을 비추고 있다. 이 그림은 고려< 高麗 >의 아미타내영도< 阿彌陀來迎圖 > 로 알려져 있으나 분명하지는 않고, 삼존상< 三尊像 >의 자세가 내영형식< 來迎形式 >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내영도< 來迎圖 >라면 반드시 묘사되어 있어야 할 구름이 묘사되어 있지 않으므로 내영도< 來迎圖 >라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극락에 왕생한 왕생인< 往生人 >에게 아미타여래< 阿彌陀如來 >가 장차 성불< 成佛 >하게 될 것을 인정해 주는 수기< 授記 >의 장면을 묘사한 수기도< 授記圖 >라 할 수 있다. 이같은 양식은 서복사< 西福寺 > 불상복장< 佛像腹藏 >의 고려< 高麗 > 관경< 觀經 > 변상< 變相 >의 하부< 下部 > 부분도에서 더욱 정확하게 도설< 圖說 >되어 있는데, 관경< 觀經 > 변상< 變相 >의 부분도와 이 그림의 양식이 같으므로 수기도< 授記圖 >라고 할 수 있다. 이 그림은 일본< 日本 >에 유출< 流出 >되어 일본< 日本 > 나양문화관< 奈良文華館 > 전시< 展示 >에서 고려< 高麗 > 불화< 佛畵 >로 높이 평가받았으며, 호암미술관< 湖巖美術館 >이 이를 사들여서 소장< 所藏 >하고 있다. 세련된 얼굴 표정과 늘씬한 몸매의 표현 기법이나 금니필선< 金泥筆線 >의 정경문< 精經文 >한 묘사 등에서 일찌기 유례가 없는 솜씨를 보여 주고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