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금동보살입상은 대좌가 없어졌으며, 보관< 寶冠 >도 갖추지 못하고 있는데, 왼쪽 손가락이 떨어져 나가 원형을 찾을 수 없게 된 것도 애석한 일이다. 이 보살입상< 菩薩立像 >은 현재 도금< 鍍金 >한 흔적이 약간 남아 있을 뿐 구리 바탕을 드러내서 적갈색을 띠고 있다. 보관< 寶冠 >이 없기 때문에 보발< 寶髮 >만 우뚝 드러나 있으며, 넓은 얼굴의 가늘게 뜬 두 눈과 코, 작은 입에 비하여 두 귀는 길고 귓부리가 가늘다. 목에는 3줄의 각선< 刻線 >이 보이며, 넓은 가슴에는 오른쪽에서 왼쪽 아래로 비스듬히 내려가는 조백< 條帛 > 1줄이 주름을 잡고 있는 것 이외에는 나체를 드러내고 있다. 천의< 天衣 >는 몸 양쪽을 따라 흘러내렸는데, 한 가닥은 아래위에 팔찌를 장식한 오른손으로 잡았으며, 다른 한가닥은 직각으로 꺾인 왼손에 걸쳐 있으나 끝에서 부러져 버렸다. 치마의 끈 매듭은 안 보이지만, 배와 두 다리에서 동고< 同孤 >의 선각< 線刻 >으로 습벽< 褶벽 >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기법이 매우 세련되고 아름답다. 각부< 各部 >에는 사실적인 표현이 두드러졌는데, 풍만하고 우람한 얼굴에다가 몸집도 당당하다. 뒷면에는 아무런 조문< 彫文 >도 안 보이고, 오직 머리부분에 둥근 구멍 하나와 등뒤 아래위에 타원형의 길쭉한 구멍 하나씩이 뚫려 있다. 또 아래위에 못이 하나씩 있어 원래 광배< 광배 >를 달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보살입상은 그 크기에 있어서 신라< 新羅 > 금동소상< 金銅小像 > 중에서 으뜸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은 원래 독존< 獨尊 >으로 주성< 鑄成 >된 것이 아니고 삼존< 三尊 >을 이루었던 두 협시< 脇侍 > 중의 하나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대는 통일신라기< 統一新羅期 >로 추정되는데, 절터에서 나왔다고 전해질 뿐, 그 유래는 자세히 알 수가 없다.
금동보살입상은 대좌가 없어졌으며, 보관< 寶冠 >도 갖추지 못하고 있는데, 왼쪽 손가락이 떨어져 나가 원형을 찾을 수 없게 된 것도 애석한 일이다. 이 보살입상< 菩薩立像 >은 현재 도금< 鍍金 >한 흔적이 약간 남아 있을 뿐 구리 바탕을 드러내서 적갈색을 띠고 있다. 보관< 寶冠 >이 없기 때문에 보발< 寶髮 >만 우뚝 드러나 있으며, 넓은 얼굴의 가늘게 뜬 두 눈과 코, 작은 입에 비하여 두 귀는 길고 귓부리가 가늘다. 목에는 3줄의 각선< 刻線 >이 보이며, 넓은 가슴에는 오른쪽에서 왼쪽 아래로 비스듬히 내려가는 조백< 條帛 > 1줄이 주름을 잡고 있는 것 이외에는 나체를 드러내고 있다. 천의< 天衣 >는 몸 양쪽을 따라 흘러내렸는데, 한 가닥은 아래위에 팔찌를 장식한 오른손으로 잡았으며, 다른 한가닥은 직각으로 꺾인 왼손에 걸쳐 있으나 끝에서 부러져 버렸다. 치마의 끈 매듭은 안 보이지만, 배와 두 다리에서 동고< 同孤 >의 선각< 線刻 >으로 습벽< 褶벽 >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기법이 매우 세련되고 아름답다. 각부< 各部 >에는 사실적인 표현이 두드러졌는데, 풍만하고 우람한 얼굴에다가 몸집도 당당하다. 뒷면에는 아무런 조문< 彫文 >도 안 보이고, 오직 머리부분에 둥근 구멍 하나와 등뒤 아래위에 타원형의 길쭉한 구멍 하나씩이 뚫려 있다. 또 아래위에 못이 하나씩 있어 원래 광배< 광배 >를 달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보살입상은 그 크기에 있어서 신라< 新羅 > 금동소상< 金銅小像 > 중에서 으뜸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은 원래 독존< 獨尊 >으로 주성< 鑄成 >된 것이 아니고 삼존< 三尊 >을 이루었던 두 협시< 脇侍 > 중의 하나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대는 통일신라기< 統一新羅期 >로 추정되는데, 절터에서 나왔다고 전해질 뿐, 그 유래는 자세히 알 수가 없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