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달성군 유가면 가태리 539
망우당선생 문집책판<忘憂堂先生 文集冊板>은 임진왜란<壬辰倭亂>때 최초로 의병<義兵>을 일으켜 혁혁<赫赫>한 전공<戰功>을 세운 곽재우<郭再祐>의 시문<詩文>과 년보<年譜> 및 부록<附錄> 등을 판각<板刻>한 책판<冊板>이다. 망우당집<忘憂堂集>은 제1차로 곽재우의 사위인 성이도<成以道>에 의해 2권 1책으로 발간되고 제2차는 종자<從子> 곽유<郭劉> 등에 의해 증보<增補>되어 인조<仁祖> 7년(1629)에 그책으로 간행 되었다. 제3차로 후손 곽진남<郭鎭南> 등에 의해 기간본<旣刊本>과 부록을 합쳐 5권 4책으로 증보<增補>하여 영조<英祖> 47년(1771)에 간행<刊行>하였는데 본책판<本冊板>은 바로 그때의 것이다. 부 창의록 책판<附 倡義錄 冊版>은 임진왜란<壬辰倭亂>때 곽재우<郭再祐>가 의령<宜寧>에서 창의<倡義>할 때 함께 참여한 사람들의 명단인 용미응모록과 정유재란<丁酉再亂>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창녕<昌寧> 화왕산입성<火旺山入城>을 방어했던 경상도 열읍의사<列邑義士>들의 명단인 화왕산성동고록<火旺山城同苦錄> 및 화왕수성각<火旺守城閣>, 범례 조현명<趙顯命>, 김시형<金始炯>의 서문<序文> 등을 판각<板刻>한 책판<冊版>이다. 곽원갑<郭元甲> 등이 편저<編著>하여 영조<英祖> 8년에 경상감사<慶尙監司>인 조현명<趙顯命>에게 서문<序文>을 받고 영조<英祖> 10년(1734)에 역시 감사<監司>인 김시형<金始炯>의 서문<序文>을 받았는데 판각연대<板刻年代>는 이때의 것이다.
망우당선생 문집책판<忘憂堂先生 文集冊板>은 임진왜란<壬辰倭亂>때 최초로 의병<義兵>을 일으켜 혁혁<赫赫>한 전공<戰功>을 세운 곽재우<郭再祐>의 시문<詩文>과 년보<年譜> 및 부록<附錄> 등을 판각<板刻>한 책판<冊板>이다. 망우당집<忘憂堂集>은 제1차로 곽재우의 사위인 성이도<成以道>에 의해 2권 1책으로 발간되고 제2차는 종자<從子> 곽유<郭劉> 등에 의해 증보<增補>되어 인조<仁祖> 7년(1629)에 그책으로 간행 되었다. 제3차로 후손 곽진남<郭鎭南> 등에 의해 기간본<旣刊本>과 부록을 합쳐 5권 4책으로 증보<增補>하여 영조<英祖> 47년(1771)에 간행<刊行>하였는데 본책판<本冊板>은 바로 그때의 것이다. 부 창의록 책판<附 倡義錄 冊版>은 임진왜란<壬辰倭亂>때 곽재우<郭再祐>가 의령<宜寧>에서 창의<倡義>할 때 함께 참여한 사람들의 명단인 용미응모록과 정유재란<丁酉再亂>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창녕<昌寧> 화왕산입성<火旺山入城>을 방어했던 경상도 열읍의사<列邑義士>들의 명단인 화왕산성동고록<火旺山城同苦錄> 및 화왕수성각<火旺守城閣>, 범례 조현명<趙顯命>, 김시형<金始炯>의 서문<序文> 등을 판각<板刻>한 책판<冊版>이다. 곽원갑<郭元甲> 등이 편저<編著>하여 영조<英祖> 8년에 경상감사<慶尙監司>인 조현명<趙顯命>에게 서문<序文>을 받고 영조<英祖> 10년(1734)에 역시 감사<監司>인 김시형<金始炯>의 서문<序文>을 받았는데 판각연대<板刻年代>는 이때의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