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동관음보살입상 - 삼국시대 보살상의 대표적인 걸작품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대좌< 臺座 >는 6각형으로 비교적 높은데, 넓은 단판< 單瓣 >의 앙련< 仰蓮 >과 복련좌< 複蓮座 > 밑에는 다시 면마다 안상< 眼象 >이 뚫려 있다. 이 위에 불신< 佛身 >이 꼿꼿이 서 있는데, 조각은 앞면뿐이고 뒷면에는 원래 개판< 蓋板 >이나 두광< 頭光 >을 달았던 4각형의 못만 남아 있으며, 전면< 全面 >에 푸른 녹이 덮여 있다. 이것은 이 불상의 조상연대< 造像年代 >가 오래되었음을 말해 주고 있다. 불신에는 여러 가지 시대적 특색이 나타나 있는데, 머리에는 3면에 낮은 반원형의 화문보관< 花文寶冠 >을 쓰고, 머리 꼭대기에는 높은 보계< 寶계 >가 얹혀 있다. 장방형 얼굴에는 융기된 두 눈에 큰 코와 윗입술이 두꺼운 앙월형< 仰月形 >의 입이 있고, 삼도< 三道 >의 각선< 刻線 >은 없다. 보발< 寶髮 >은 두 어깨 위로 풀어져서 세 가닥을 이루었으며, 가슴에는 중앙에 크고 둥근 화판< 花板 >을 단 목걸이를 장식해 놓았다. 천의< 天衣 >는 몸 아랫부분에서 U자형을 이루고, 다시 두 손에 걸쳐서 양쪽 옆몸을 따라 길게 대좌 위로 흘러내렸다. 또한 온몸에 걸친 영락< 瓔珞 >이 배의 중앙에서 교차되고, 그 한가운데에는 둥근 화문< 花文 >의 고리를 달고 있다. 이같은 영락장식< 瓔珞裝飾 >의 방식은 중국< 中國 >의 고식< 古式 >을 따르는 것인데, 한국< 韓國 >의 삼국기< 三國期 > 금동불상< 金銅佛像 > 중에서도 그 유품< 遺品 >은 나타난다. 왼손은 들어서 다섯 손가락으로 마개와 넓은 굽이 달려 있는 목이 긴 정병< 淨甁 >을 들었으며, 오른손은 그대로 내려서 천의< 天衣 >를 잡고 있다. 상반신은 나체이며, 허리밑으로 치마를 입었으나 옷주름의 각선< 刻線 >이 분명하지 못하다. 온몸에서 고졸< 古拙 >하고 청아한 기풍이 풍기고 있으며, 근엄한 얼굴에 비하여 가늘고 큰 키에서 오는 인상이 숙련된 솜씨를 짐작하게 한다. 삼양동< 三陽洞 >에서 발견된 금동관음보살입상< 金銅觀音菩薩立像 >(국보 제127호)과 더불어 삼국< 三國 >시대(7세기 초반) 보살상의 대표적인 걸작품이라고 할 만하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