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정온선생 종택(鄭蘊先生 宗宅)
지정번호 : 중요민속자료 제205호
시 대 : 조 선
소 재 지 :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50-1
동계(桐溪) 정온(鄭蘊, 1569∼1641년)선생의 사당을 모시고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아온 종택으로 대문채, 큰사랑채, 중문간과 중사랑채, 곳간채, 안채, 안사랑채, 사당, 토석 담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채는 솟을대문이며 인조(仁祖)임금이 내린『文簡公桐溪鄭蘊之門』의 정려(旌閭) 현판이 걸려 있다. 정면 6칸, 전퇴(前退)가 있는 2칸 반의 사랑채는 ㄱ자형이며 사랑채 상량대에는 "崇禎紀元後四庚辰三月"이라 적혀 있는데 이는 순조(純祖) 20년(1820)에 해당된다. 사랑채 마루 벽에 정조임금이 지은 현판이 걸려 있는데 옮겨 보면 다음과 같다.
日長山色碧嵯峨 種得乾坤正氣多
北去南來同一義 精金堅石不會磨
(崇禎四庚年 居昌府使金麟渟謹書)
세월은 흘러도 산은 푸르고 높으며/정의로운 기운은 온 천지에 가득하네/
북으로 가거나(金尙憲이 심양에 간 것) 남으로 오거나(정온은 모시로 온 것)
의리는 매 한 가지/금석같이 정결하고 굳은 절개는 아직도 삭아 없어지질 않았다.
안채는 남향으로 정면 8칸, 측면 3칸 반의 정후퇴(前後退)가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는 기단이 낮은 반면에 툇마루가 높게 설치되어 있다. 곳간채는 서편에 있으며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되어 있다. 마당 동측에 서향(西向)한 아래채가 있는데 4칸집이다. 사당은 안채의 후원에 삼문(三門)을 낀 낮은 토석담장 안에 위치하고 있다.전체적으로 남부지방 양반집 형태를 잘 갖추고 있으며, 각 신분에 따라 공간구별이 잘 구분된 조선시대 건축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주거시설로 현재 종손이 관리하고 있다.
나. 정온선생 제복일습(鄭蘊先生 制服一襲)
지정번호 : 중요민속자료 제218호
시 대 : 조선
소 재 지 : 거창군 거창읍 김천리 216-5 거창박물관
조선 선조 2년(1569) 역동에서 태어나 인조 20년(1641)에 타계한 문간공(文簡公) 동계 정온(桐溪 鄭蘊)의 복식으로 조복(朝服), 제복(祭服), 상(裳), 중단(中單), 금량관(金梁冠) 등 5점이다.
(1) 조복(朝服) - 적초의(赤 衣)
조복은 경축일 등 임금을 알현할 때 입는 관복으로 조선후기의 소매는 진동 밑이 거의 직선에 가까운데 비해서 이 조복은 둥근형을 보이는 두리 소매이다. 특히 옷고름에 검정색을 사용한 점이 눈에 띄는데 이는 조선중기 조복의 특성이다.
(2) 제복(祭服) - 청초의(靑 衣)
청색 항라(亢羅)로 만든 것으로 조선후기의 제복이 거의 검정색인 것과 다소 다르다. 소매통이 다소 좁은 편이고 화장은 상당히 긴 편이다.
(3) 상(裳)
적초(赤 )로 만든 상은 조선후기와 비슷한데 후기의 상은 밑단 검정선에는 주름이 잡혀있지 않으나 이 상에는 검정선 위까지 잔주름이 계속해서 잡혀 있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전삼후사(前三後四)의 기준에 따라 앞의 상이 좁고 뒤가 넓은 것도 특징적이다.
(4) 중단(中單)
중단은 제복 안에 받혀 입는 것으로 옥색(玉色)이며, 완만한 곡선의 두리소매와 긴 소배가 특징적이다.
(5) 금관(金冠)
양관(梁冠)이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가늘게 잘라서 마치 갓을 만드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모자를 짜서 일부분은 종이로 바르고 그 위에 금물칠을 했다. 뒷부분에는 당초문에다 봉황을 새겼고 앞에는 세로로 몇 가닥의 줄을 넣었다. 이 줄을 량(梁)이라 하는데 량의 숫자에 따라 벼슬 품위가 달랐으며 이 금관은 5량관에 해당되며 정1품 이상의 벼슬이 쓰는 것이다. 정온 선생의 제복은 현존하는 조선시대 복식 중 조선중기의 것으로 복식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문화재이다.
지정번호 : 중요민속자료 제205호
시 대 : 조 선
소 재 지 :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50-1
동계(桐溪) 정온(鄭蘊, 1569∼1641년)선생의 사당을 모시고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아온 종택으로 대문채, 큰사랑채, 중문간과 중사랑채, 곳간채, 안채, 안사랑채, 사당, 토석 담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채는 솟을대문이며 인조(仁祖)임금이 내린『文簡公桐溪鄭蘊之門』의 정려(旌閭) 현판이 걸려 있다. 정면 6칸, 전퇴(前退)가 있는 2칸 반의 사랑채는 ㄱ자형이며 사랑채 상량대에는 "崇禎紀元後四庚辰三月"이라 적혀 있는데 이는 순조(純祖) 20년(1820)에 해당된다. 사랑채 마루 벽에 정조임금이 지은 현판이 걸려 있는데 옮겨 보면 다음과 같다.
日長山色碧嵯峨 種得乾坤正氣多
北去南來同一義 精金堅石不會磨
(崇禎四庚年 居昌府使金麟渟謹書)
세월은 흘러도 산은 푸르고 높으며/정의로운 기운은 온 천지에 가득하네/
북으로 가거나(金尙憲이 심양에 간 것) 남으로 오거나(정온은 모시로 온 것)
의리는 매 한 가지/금석같이 정결하고 굳은 절개는 아직도 삭아 없어지질 않았다.
안채는 남향으로 정면 8칸, 측면 3칸 반의 정후퇴(前後退)가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는 기단이 낮은 반면에 툇마루가 높게 설치되어 있다. 곳간채는 서편에 있으며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되어 있다. 마당 동측에 서향(西向)한 아래채가 있는데 4칸집이다. 사당은 안채의 후원에 삼문(三門)을 낀 낮은 토석담장 안에 위치하고 있다.전체적으로 남부지방 양반집 형태를 잘 갖추고 있으며, 각 신분에 따라 공간구별이 잘 구분된 조선시대 건축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주거시설로 현재 종손이 관리하고 있다.
나. 정온선생 제복일습(鄭蘊先生 制服一襲)
지정번호 : 중요민속자료 제218호
시 대 : 조선
소 재 지 : 거창군 거창읍 김천리 216-5 거창박물관
조선 선조 2년(1569) 역동에서 태어나 인조 20년(1641)에 타계한 문간공(文簡公) 동계 정온(桐溪 鄭蘊)의 복식으로 조복(朝服), 제복(祭服), 상(裳), 중단(中單), 금량관(金梁冠) 등 5점이다.
(1) 조복(朝服) - 적초의(赤 衣)
조복은 경축일 등 임금을 알현할 때 입는 관복으로 조선후기의 소매는 진동 밑이 거의 직선에 가까운데 비해서 이 조복은 둥근형을 보이는 두리 소매이다. 특히 옷고름에 검정색을 사용한 점이 눈에 띄는데 이는 조선중기 조복의 특성이다.
(2) 제복(祭服) - 청초의(靑 衣)
청색 항라(亢羅)로 만든 것으로 조선후기의 제복이 거의 검정색인 것과 다소 다르다. 소매통이 다소 좁은 편이고 화장은 상당히 긴 편이다.
(3) 상(裳)
적초(赤 )로 만든 상은 조선후기와 비슷한데 후기의 상은 밑단 검정선에는 주름이 잡혀있지 않으나 이 상에는 검정선 위까지 잔주름이 계속해서 잡혀 있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전삼후사(前三後四)의 기준에 따라 앞의 상이 좁고 뒤가 넓은 것도 특징적이다.
(4) 중단(中單)
중단은 제복 안에 받혀 입는 것으로 옥색(玉色)이며, 완만한 곡선의 두리소매와 긴 소배가 특징적이다.
(5) 금관(金冠)
양관(梁冠)이라고도 하며 대나무를 가늘게 잘라서 마치 갓을 만드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모자를 짜서 일부분은 종이로 바르고 그 위에 금물칠을 했다. 뒷부분에는 당초문에다 봉황을 새겼고 앞에는 세로로 몇 가닥의 줄을 넣었다. 이 줄을 량(梁)이라 하는데 량의 숫자에 따라 벼슬 품위가 달랐으며 이 금관은 5량관에 해당되며 정1품 이상의 벼슬이 쓰는 것이다. 정온 선생의 제복은 현존하는 조선시대 복식 중 조선중기의 것으로 복식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문화재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