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훈련원공원 - 5백여년의 역사를 가지는 군사관계일의 집산지

by 넥스루비 2007. 8. 7.
서울 중구 을지로5가 40-3

훈련원공원의 터는 병사의 무술훈련 및 병서·전투대형등의 강습을 맡았던 훈련원이 있었던 곳입니다. 훈련원은 조선 태조 원년(1392)에 설치되어 처음에는 훈련관으로 불렀는데 태종 때 이곳으로 옮겨 청사 남쪽에 활쏘기 등 무예를 연습하고 무과시험을 보는 대청인 사청을 지었으며 세조 12년(1466)에 훈련원으로 고쳤습니다.
많은 무장들이 이 훈련원에서 오랜기간동안 시험과 봉직의 과정을 거쳤는데 충무공 이순신이 별과시험에서 말을 달리다가 실수로 낙마하여 왼쪽다리에 부상을 입은 곳도 이 훈련원이고, 봉사·참군 등 하위관직이 여러해 동안 복무하던 곳도 훈련원이었습니다.
그러나 5백여년의 역사를 갖고 여러 가지 군사관계의 일을 집행하던 훈련원도 국가의 대세가 기울어짐과 함께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1907년 8월에 체결된 한일신협약(일명 丁未7조약)에 의해 훈련원에서 군대해산식이 거행되고 한국 군인들에 대한 무장해제가 집행되었습니다. 이 군대해산으로 비분한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던 장병들은 일본 단국이 지급한 은사금을 거부하고 의병부대에 합류함으로써 이제까지 재해식 무기와 체계적인 훈련을 받지 못한 채 활동하던 의병전쟁에 새로운 활력소가 되었습니다. 같은 해 12월 이인영과 허위가 중심이 된 서울 진공 작전도 신식무기와 병술에 익숙한 해산군인이 중심이 되었습니다. 이후 이들은 일본의 토벌작전이 치열해지자 그 활동무대를 국외로 옮겨 간도와 러시아등지에서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하였습니다.
한편, 현재의 훈련원공원 및 주차장이 건설되기 이전 이곳에는 적벽돌로 장식되고 내부구조는 백두산에서 벌목되어 압록강을 따라 황해로 운반된 육송으로 지어진 목조건물이 있었는데, 이 건물 철거시 회수한 목재를 가공하여 여기 안내판을 제막하는데 사용함으로써 옛 내음을 보존하고자 하였습니다.

[대중교통]
*지하철
지하철 2, 4, 5호선 타고 동대문운동장역 하차 을지로 방향으로 300보 정도
*버스
48, 54, 55-3, 62, 155, 917, 917-1 타고 국립의료원 하차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