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달성군 옥포면 반송리 882
용연사 극락전<龍淵寺 極樂殿>앞에 단탑으로 설치된 석탑으로서 근년에 보수되었고 단탑기단에 옥신, 옥개를 각각 단석으로한 삼층석탑<三層石塔>이며 노반<露盤>이 남아있다. 기단부는 지부석<地府石>이 보수때 새로운 석재로 대치됐고 면석<面石>은 탱주<撑柱> 한개와 우주<隅柱> 두개씩을 각출하였으며 갑석<甲石>은 부연과 2단의 괴임을 각출하고 상면을 외연쪽으로 경사지웠다. 각층의 옥신<屋身>은 우주 두개씩을 각출하고 옥개<屋蓋> 4단의 받침과 괴임을 각조<刻造>했다. 단층기단<單層基壇>에 갑석상면<甲石上面>이 경사를 이루고 옥개<屋蓋> 받침이 4단이라는 것과 옥개 낙수면이 짧고 추녀가 얇은데 비해 받침이 높은 형식등은 석탑에서 변질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용연사 극락전<龍淵寺 極樂殿>앞에 단탑으로 설치된 석탑으로서 근년에 보수되었고 단탑기단에 옥신, 옥개를 각각 단석으로한 삼층석탑<三層石塔>이며 노반<露盤>이 남아있다. 기단부는 지부석<地府石>이 보수때 새로운 석재로 대치됐고 면석<面石>은 탱주<撑柱> 한개와 우주<隅柱> 두개씩을 각출하였으며 갑석<甲石>은 부연과 2단의 괴임을 각출하고 상면을 외연쪽으로 경사지웠다. 각층의 옥신<屋身>은 우주 두개씩을 각출하고 옥개<屋蓋> 4단의 받침과 괴임을 각조<刻造>했다. 단층기단<單層基壇>에 갑석상면<甲石上面>이 경사를 이루고 옥개<屋蓋> 받침이 4단이라는 것과 옥개 낙수면이 짧고 추녀가 얇은데 비해 받침이 높은 형식등은 석탑에서 변질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