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금정구 장전동
이 탑은 경남< 慶南 > 울산군< 蔚山郡 > 청량면< 靑良面 > 삼정리< 三亭里 >의 대곡사지< 大谷寺址 >에 있던 것을 1966년 11월 부산대학교< 釜山大學校 >에서 이전< 移轉 > 복원한 것이다. 고려시대< 高麗時代 >의 석탑< 石塔 > 양식< 樣式 >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단부< 基壇部 >와 상륜부< 相輪部 >는 없어져 이전시 새로 만든 것이다.
제1층 옥신석< 屋身石 >은 2층 이상의 옥신석에 비해 매우 높게 만들고 4면< 四面 >에 사천왕상< 四天王像 >(동면< 東面 >은 지국천왕상< 持國天王像 >, 서면< 西面 >은 광목천왕상< 廣目天王像 >, 남면< 南面 >은 증장천왕상< 增長天王像 >, 북면< 北面 > 다문천왕상< 多聞天王像 >)을 양각하였는데 정교하지는 않으나 곡선< 曲線 >이 부드럽고 각 천왕의 특징이 잘 표현되어 있다. 2층 이상의 옥신은 귀기둥< 隅柱 >만 조각하였고 옥개석< 屋蓋石 >은 각 3단의 옥개받침과 1단의 옥신괴임이 있다. 폭이 좁고 높아 고준< 高峻 >한 느낌을 준다.
[승용차]
부산대학교 -> 박물관 별관
[대중교통]
지하철 부산대학교역에서 하차 후 부산대학교서틀버스 이용.
시내버스 : 29, 29-1, 29-2, 49-1, 51, 51-1, 51-2, 77, 80, 80-1, 100, 100-1, 121, 130, 130-1, 131-1, 178, 301
이 탑은 경남< 慶南 > 울산군< 蔚山郡 > 청량면< 靑良面 > 삼정리< 三亭里 >의 대곡사지< 大谷寺址 >에 있던 것을 1966년 11월 부산대학교< 釜山大學校 >에서 이전< 移轉 > 복원한 것이다. 고려시대< 高麗時代 >의 석탑< 石塔 > 양식< 樣式 >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단부< 基壇部 >와 상륜부< 相輪部 >는 없어져 이전시 새로 만든 것이다.
제1층 옥신석< 屋身石 >은 2층 이상의 옥신석에 비해 매우 높게 만들고 4면< 四面 >에 사천왕상< 四天王像 >(동면< 東面 >은 지국천왕상< 持國天王像 >, 서면< 西面 >은 광목천왕상< 廣目天王像 >, 남면< 南面 >은 증장천왕상< 增長天王像 >, 북면< 北面 > 다문천왕상< 多聞天王像 >)을 양각하였는데 정교하지는 않으나 곡선< 曲線 >이 부드럽고 각 천왕의 특징이 잘 표현되어 있다. 2층 이상의 옥신은 귀기둥< 隅柱 >만 조각하였고 옥개석< 屋蓋石 >은 각 3단의 옥개받침과 1단의 옥신괴임이 있다. 폭이 좁고 높아 고준< 高峻 >한 느낌을 준다.
[승용차]
부산대학교 -> 박물관 별관
[대중교통]
지하철 부산대학교역에서 하차 후 부산대학교서틀버스 이용.
시내버스 : 29, 29-1, 29-2, 49-1, 51, 51-1, 51-2, 77, 80, 80-1, 100, 100-1, 121, 130, 130-1, 131-1, 178, 3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