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거제시 신현읍 고현리 산 90-8번지
1950년 6월25일 동란발발 ,1950. 9. 15의 인천상륙작전으로 많은 포로가 잡혀 부산, 경북등에 분리 수용하였으나 수용에 어려움이 있어, 1950. 11. 27 거제도 고현, 상동,용산,수월, 해명,저산,양정지구를 중심으로 360만평에 포로수용소를 설치하였으며, 인민군 15만, 중공군 2만, 여자포로(300명)와 의용군 3천명 등 최대 17만 3천명을 수용하였다. 그당시 거제에는 주민 10만 피난민 약 15만명,포로 17만등 약 42만명이 거주하였다.
지금은 잔존건물 일부만 곳곳에 남아있어 당시의 상황을 잘 말해주고 있으며, 1983년 12월에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99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이후, 전쟁역사의 산 교육장 및 세계적인 관광명소를 조성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 포로수용소 유적관을 개관하여 그 당시의 사진과 장비 및 의복 등을 수집 전시하고 있으며, 6.25동란과 포로수용소에 대한 영화도 부분적으로 제작 상영하고 있다.
유적지 야외 한켠에는 전쟁당시의 수용소 소장이었던 돗드준장의 거처와 집무실 건물의 잔해가 아직도 남아있다. 이 유적관의 구성이 전쟁유적치고는 차분한 편이라는 점이다.
친공포로들의 폭동과 친/반공포로 등의 대립장면을 각종 전시품과 자료들을 통해 주입식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중심으로 서술하는가 하면 전시실 한켠에는 수용소 주변 주민들의 고통과 피해사려까지 소개하고 있다.
전시실에는 당시 북한군 포로들이 만들어 사용하던 북한, 중국, 소련의 국기와 그 당시의 상황을 보도한 외국잡지 따위의 흥미로운 물건들도 많이 전시되어 있다.
관람시설 : 탱크전시관, 대형 디오라마관, 북한군남침, 국군의 사수, 6.25역사관, 대동강철교피난행렬, 포로생활관, 체험 및 놀이터, 포로 생포관, 전망대, 포로수송, 기념촬영장, 포로대립관, 여자포로관, 포로 폭동관 포로 설득관, 포로귀환열차, 유적관, 막사, 취사장, 배식대, 노천변소, 64야전병원, 탄약고, 무기전시장, 잔존유적 등
[승용차]
● 서울/대전 지역 : 경부고속도로→구미고속도로→마산IC→통영→거제도
● 광주/전주 지역 : 남해고속도로→사천IC→고성→통영→거제도
● 부산/울산 지역 : 부마고속도로→마산IC→통영→거제도
● 거제대교→성포→사곡→고현→포로수용소 유적공원
[대중교통]
● 직행버스
* 서울 남부터미널 (02)521-8547, 서울→고현→장승포
* 부산 사상시외버스터미널, 부산→통영→고현→장승포
* 울산 시외버스터미널, 울산→동래→마산→통영→고현→장승포
* 장승포 시외버스 터미널(055)681-8619, 고현 시외버스 터미널(055)632-1920
● 여객선
* 부산→장승포 1시간간격 운행 (07:00∼18:00) 45분 소요, 부산연안여객터미날 내 서경해운 : 051-469-5994, 세 모 : 051-463-2255
* 부산항→고현 1일 4회 운행 1시간 15분 소요, (고현항) 세모 : 055-636-3535
* 부산항→옥포 1일 3회 운행, 45분 소요, 옥포항 : 055-687-3560
1950년 6월25일 동란발발 ,1950. 9. 15의 인천상륙작전으로 많은 포로가 잡혀 부산, 경북등에 분리 수용하였으나 수용에 어려움이 있어, 1950. 11. 27 거제도 고현, 상동,용산,수월, 해명,저산,양정지구를 중심으로 360만평에 포로수용소를 설치하였으며, 인민군 15만, 중공군 2만, 여자포로(300명)와 의용군 3천명 등 최대 17만 3천명을 수용하였다. 그당시 거제에는 주민 10만 피난민 약 15만명,포로 17만등 약 42만명이 거주하였다.
지금은 잔존건물 일부만 곳곳에 남아있어 당시의 상황을 잘 말해주고 있으며, 1983년 12월에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99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이후, 전쟁역사의 산 교육장 및 세계적인 관광명소를 조성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 포로수용소 유적관을 개관하여 그 당시의 사진과 장비 및 의복 등을 수집 전시하고 있으며, 6.25동란과 포로수용소에 대한 영화도 부분적으로 제작 상영하고 있다.
유적지 야외 한켠에는 전쟁당시의 수용소 소장이었던 돗드준장의 거처와 집무실 건물의 잔해가 아직도 남아있다. 이 유적관의 구성이 전쟁유적치고는 차분한 편이라는 점이다.
친공포로들의 폭동과 친/반공포로 등의 대립장면을 각종 전시품과 자료들을 통해 주입식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중심으로 서술하는가 하면 전시실 한켠에는 수용소 주변 주민들의 고통과 피해사려까지 소개하고 있다.
전시실에는 당시 북한군 포로들이 만들어 사용하던 북한, 중국, 소련의 국기와 그 당시의 상황을 보도한 외국잡지 따위의 흥미로운 물건들도 많이 전시되어 있다.
관람시설 : 탱크전시관, 대형 디오라마관, 북한군남침, 국군의 사수, 6.25역사관, 대동강철교피난행렬, 포로생활관, 체험 및 놀이터, 포로 생포관, 전망대, 포로수송, 기념촬영장, 포로대립관, 여자포로관, 포로 폭동관 포로 설득관, 포로귀환열차, 유적관, 막사, 취사장, 배식대, 노천변소, 64야전병원, 탄약고, 무기전시장, 잔존유적 등
[승용차]
● 서울/대전 지역 : 경부고속도로→구미고속도로→마산IC→통영→거제도
● 광주/전주 지역 : 남해고속도로→사천IC→고성→통영→거제도
● 부산/울산 지역 : 부마고속도로→마산IC→통영→거제도
● 거제대교→성포→사곡→고현→포로수용소 유적공원
[대중교통]
● 직행버스
* 서울 남부터미널 (02)521-8547, 서울→고현→장승포
* 부산 사상시외버스터미널, 부산→통영→고현→장승포
* 울산 시외버스터미널, 울산→동래→마산→통영→고현→장승포
* 장승포 시외버스 터미널(055)681-8619, 고현 시외버스 터미널(055)632-1920
● 여객선
* 부산→장승포 1시간간격 운행 (07:00∼18:00) 45분 소요, 부산연안여객터미날 내 서경해운 : 051-469-5994, 세 모 : 051-463-2255
* 부산항→고현 1일 4회 운행 1시간 15분 소요, (고현항) 세모 : 055-636-3535
* 부산항→옥포 1일 3회 운행, 45분 소요, 옥포항 : 055-687-356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