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외적을 막는 방어시설로 각 고을에 성을 쌓았었다. 동래에는 삼한시대 이후 거칠산국, 칠산국, 장산국, 독로국 등으로 불린 성읍국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그때 이미 성을 쌓았으리라고 짐작한다.
그러나 동래성에 관한 기록에 보이는 것은 『고려사』에 현종 12년(1021)에 동래군성을 수리한 것이 처음이고, 우왕 13년(1387) 박위< 朴 >가 왜구를 막기 위해 동래성을 크게 고쳐 쌓아 석성< 石城 >의 둘레가 3,090자, 높이 13자 이었다. 왜적방어< 倭賊防禦 >의 제1관문이었던 이 성은 조선 선조< 宣祖 > 25년(1592) 4월 14일 임진왜란이 일어나면서 부산진성< 釜山鎭城 >과 함께 왜적들의 1차적인 공격목표가 되어, 부사 송상현을 위시한 군·관·민이 전사하는 장렬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영조 7년(1731)에 다시 증축된 이 성의 규모는 성곽의 둘레가 1,729자였고, 4곳에 문이 있어 동문을 지희루< 志喜樓 >, 서문< 西門 >을 심성루< 心成樓 >, 남문< 南門 >을 무우루< 無憂樓 >, 암문< 暗門 >을 은일루< 隱一樓 >라 하였고, 남문에는 익성< 翼城 >을 두고 나머지 3문에도 옹성< 甕城 >을 부설하여 적이 성문을 쉽게 공격할 수 없게 하였다.
현재 성내에는 북문< 北門 >과 옹성< 甕城 >·동장대< 東將臺 >·서장대< 西將臺 >·치성< 雉城 >·여장< 女墻 > 등이 부분적으로 복원 보수되어 있어 옛 선조들이 남긴 유비무환의 정신을 일깨워주고 있다.
댓글